3
사정기관 유례없는 지역 쏠림…국정원장에 호남 김종빈 다시 검토
이명박 정부의 첫 사정기관 수장들이 ‘100% 영남 인사’로 채워질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청와대 민정수석, 검찰총장, 경찰총장이 영남 인사로 정해진 데 이어 14일 법무부 장관도 경북 안동 출신인 김경한 전 법무부 차관으로 사실상 확정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국정원장마저 예상대로 김성호 전 법무부 장관이 앉는다면, 이른바 사정라인 ‘빅 5’가 모두 영남 출신으로 채워진다. ‘김성호 국정원장’은 이 당선인이 일찌감치 마음을 굳히고, 최근 청문회에 대비한 검증까지 마친 상태였다고 한다.
이는 역대 어느 정부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영남 쏠림 현상이다. 이 때문에 이명박 당선인은 국정원장에 전남 여천 출신인 김종빈 전 검찰총장을 검토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김종빈 전 총장은 법무부 장관에 유력하게 검토됐다. 그러나 이종찬, 김성호, 김종빈 세 사람 모두 고려대 법대 출신인 점이 걸려, 법무부 장관이 서울대 출신인 김경한 전 차관에게 돌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엔 지역이 걸려, 국정원장에 김성호 카드를 버리고 김종빈 카드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이럴 경우 조금 완화되겠지만 지역 편중의 문제점은 계속 남을 것으로 보인다. 과거 군부정권과 김영삼 정부 때 이들 권력기관에서 티케이(TK), 피케이(PK) 출신들로 인사가 편중되면서 계속 정치적 중립성이 논란이 됐다.
이 때문에 노무현 대통령은 초대 사정라인을 짜면서 지역 안배를 무척 고민했다. 영남 출신인 문재인 청와대 민정수석, 송광수 검찰총장, 최기문 경찰청장 등을 임명했지만, 강원 정선과 제주 출신인 고영구 국정원장과 강금실 법무부 장관을 임명해 균형을 맞추려 애썼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과 내각 인선에선 지역 안배를 무척 신경 썼으면서도 초대 사정라인은 박상천 법무부 장관(전남 고흥), 김태정 검찰총장(전남 장흥), 김세옥 경찰청장(전남 장흥), 박주선 청와대 법무비서관(전남 보성) 등 ‘전남 인맥’으로 거의 채우다시피 했다. 안기부장에만 서울 출신의 이종찬 당시 인수위원장을 임명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