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맹관계 조율
한국과 미국이 북한 핵 문제를 비롯해 한-미 동맹과 관련한 주요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에 합의했다고 홍석현 주미대사가 27일(현지시각) 밝혔다.
이번 정상회담은 노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는 형식이며, 6월 이후 열기로 하되 외교 당국의 실무 협의를 거쳐 구체적 시기와 장소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홍석현 주미대사는 이날 “지난 2월 워싱턴에 부임했을 때부터 미국 쪽과 공동인식을 바탕으로 정상회담을 추진해 왔다”며 “이종석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차장의 방미를 계기로 (회담 추진에) 많은 진전이 있었고, 멀지 않은 시일 안에 공식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 대사는 “회담 장소와 시기는 미국 쪽과 더 협의를 해야 한다”며 “노무현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는 형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종석 차장은 회담 시기에 대해 “5월은 너무 이르고 가을은 너무 늦다”고 말해, 이르면 6월 또는 7월이 될 것으로 보인다. 두 나라는 정상회담 장소로 부시 대통령의 휴양지인 텍사스 크로포드 목장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핵 문제의 전망과 관련해 이종석 차장은 “아직 (6자 회담을 통한) 협상 국면이 끝나지 않았다”며 “일단 6자 회담이 재개되면 그 안에서 (북-미) 양자회담도 가능하다는 게 우리나 미국, 중국의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국이 북한 핵을 용인할 것이라는 건 사실이 아니다”라며 “북한 핵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게 우리 원칙이며, 그 원칙에 따라 행동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 미 연합 정보를 종합하면, 북한이 핵실험을 준비한다는 특별한 징후는 없다”며 “북한 핵 문제의 유엔 안보리 회부 문제를 미국 정부가 우리에게 공식적으로 제기한 적은 없기 때문에 우리도 그에 관한 입장을 미국에 전달할 필요가 없었다”고 말했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