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판]
역대 비례대표 1번은
역대 비례대표 1번은
국회의원 선거에서 현재와 같은 정당별 비례대표 선거방식이 도입된 건 2004년 17대 총선 때부터다. 16대 총선(2000년) 때까지는 지역구 5석 이상을 차지한 정당에 한해 유효투표수를 계산한 뒤 비율에 따라 전국구 의석을 배분하는 방식을 따랐다. 달리 말해, 유권자들이 각 지역구에 출마한 정당의 개별 후보자에게 투표한 결과 자체가 전국구 의석을 배분하는 기준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2001년 헌법재판소가 이 방식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림에 따라 2002년 선거법이 개정돼 현재와 같은 1인2표 정당명부제가 도입됐다. 이에 따라 유권자들은 자신이 속한 지역구에 출마한 특정 정당의 후보에 투표하는 것과는 별개로, 전국 단위의 비례대표 후보자를 낸 정당에 소중한 한 표를 추가로 행사할 수 있게 됐다.
선거에 나선 각 정당이 비례대표 후보자 선정에 좀더 신중을 기하게 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비례대표 후보자의 면면 자체가 정당 자체의 득표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지난 두 차례의 총선에서도 각 당은 ‘대표얼굴’ 격인 비례대표 1번 후보자를 통해 자신들의 선거전략을 강조하기도 했다.
우선 2008년 18대 선거를 살펴보자. 2007년 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한나라당은 여세를 몰아 의회권력 교체에 나섰다. 한나라당이 내세운 1번 후보는 강명순 (사)부스러기사랑나눔회 대표였다. 오랜 세월 빈민운동에 몸담았던 강 대표의 발탁을 통해 서민과 좀더 가까운 정당으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게 당시 한나라당의 주장이었다. 하지만 이명박 대통령 측근 인사를 대거 당선안정권에 배치한데다 부자정당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가리는 속임수에 불과했다는 평가도 많았다.
이에 맞서 통합민주당은 이성남 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을 비례대표 1번으로 내세웠다. 진보신당과 민주노동당은 모두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을 우대한다는 원칙 아래, 박영희 장애인이동권연대 공동대표와 실로암재활원 원장을 각각 비례대표 1번으로 내세운 바 있다. 특히 친박연대 비례대표 1번으로 나선 양정례 새시대새물결 여성청년간사는 불법 공천헌금 사실이 드러나 18대 국회가 개원하자마자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잃는 촌극을 빚기도 했다. 18대 총선 결과, 비례대표 의석(개원 기준)은 한나라당 22석, 통합민주당 15석, 친박연대 8석, 자유선진당 4석, 민주노동당 3석, 창조한국당 2석씩 배분됐다.
앞서 2004년 치러진 17대 총선에서도 주요 정당들은 저마다 여성 후보들을 비례대표 1번에 배치하는 전략을 폈다.
열린우리당은 인권운동가인 장향숙 한국장애인연합 공동대표를, 새천년민주당은 손봉숙 한국여성정치연구소 이사장을 대표 얼굴로 내세웠다. 한나라당에선 김애실 한국외대 경제학과 교수가 나섰다. 이에 반해 자민련(김종필)과 공화당(허경영)은 모두 당 대표를 1번에 배치해 눈길을 끌었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대 문재인…사활건 ‘대선 전초전’ 개막
■ 현직 부장검사 회식자리서 여기자 2명 몸 더듬고 성추행
■ 안철수, 송호창·인재근에 지지 메시지…4·11총선 본격 개입
■ 김윤옥 국립중앙박물관 만찬, 어떻게 봐야 하나?
■ 스위스 자전거 여행자가 물었다 “살려낸 강 아닌가요?”
■ 박근혜 대 문재인…사활건 ‘대선 전초전’ 개막
■ 현직 부장검사 회식자리서 여기자 2명 몸 더듬고 성추행
■ 안철수, 송호창·인재근에 지지 메시지…4·11총선 본격 개입
■ 김윤옥 국립중앙박물관 만찬, 어떻게 봐야 하나?
■ 스위스 자전거 여행자가 물었다 “살려낸 강 아닌가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