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단체와 투표소 점검뒤
점자 설치…가족 동반도 허용
종교시설 투표소 17곳만 운영
점자 설치…가족 동반도 허용
종교시설 투표소 17곳만 운영
4·11 총선에서는 장애인들의 투표가 한층 수월해질 전망이다. 종교시설 안 투표장도 크게 줄었다.
중앙선관위는 3일 “19대 총선을 대비해 처음으로 장애인단체와 함께 투표소 실태 점검을 진행했다”며 “1층이 아닌 곳에 투표소가 설치됐더라도 거동 불능 장애인을 위해 1층에 임시기표소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선관위는 시각장애 유권자를 위해 점자형 투표안내문과 시디(CD) 형태의 음성형 투표안내문을 발송하고, 안내문에 음성변환 바코드(voice-eye)도 싣기로 했다. 신체장애로 기표할 수 없는 지적·자폐성 장애인은 가족 동반투표도 허용된다.
종교의 자유와 관련해 논란이 됐던 종교시설 안 투표소도 2008년 총선 때 전국 766곳(5.8%)이었던 것에 비해, 이번 총선에서는 서울 17곳(0.1%)에서만 운영된다. 선관위는 “이 가운데 15곳은 적당한 장소가 없어 지난해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사용한 곳이고, 나머지 2곳도 정당들의 동의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투표소 변경 논란으로 곤욕을 치른 바 있는 선관위는 이번 총선에서 투표소 변경 비율을 9.1%로 낮췄다. 18대 총선 대비 2010년 지방선거 때 투표소 변경 비율은 22.5%였다. 또 투표소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네이버’와 ‘다음’에 투표소 찾기 서비스를 개설하고, 스마트폰에서도 ‘투표소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교통불편 지역의 투표 편의를 위해 전국 969개 읍·면·동에서 대형버스와 승합차, 선박 등 1325건의 교통편을 마련했다. 제공 기준은 투표소까지 하루 대중교통 운행횟수가 4회 이하인 지역이다. 석진환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김제동, 감시공포…약 없인 잠 못자”
■ 도올 김용옥 “지금 전국이 쥐새끼로 들끓어”
■ 토론회장 뛰쳐나간 새누리 박선희 “불스원샷 먹고 폭주?”
■ 안철수 “시민 선택으로 정치권 교체 의사표현 해야”
■ 엄마, 나……좋아하는 사람 생겼어요!
■ “김제동, 감시공포…약 없인 잠 못자”
■ 도올 김용옥 “지금 전국이 쥐새끼로 들끓어”
■ 토론회장 뛰쳐나간 새누리 박선희 “불스원샷 먹고 폭주?”
■ 안철수 “시민 선택으로 정치권 교체 의사표현 해야”
■ 엄마, 나……좋아하는 사람 생겼어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