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신청자 늘어나”
4·11 총선에서 전국 대학 29곳에 부재자 투표소가 설치된다. 2008년 18대 총선 때 대학 3곳에 설치된 것에 비하면 10배 가까이로 늘어난 수치이고, 대학 내 투표소 수로도 역대 선거 최대 규모다. 선관위는 대학생 2000명 이상이 부재자 신고를 해야 대학 내 투표소를 설치해주기 때문에, 투표소 증가는 대학생들의 부재자 투표 신청이 크게 늘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중앙선관위는 3일 “유권자들에게 투표 편의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신청을 해온 대학 29곳 모두에 부재자 투표소를 설치하기로 했다”며 “29곳 가운데 24곳은 부재자 투표 예상 인원이 2000명을 넘었으며, 5곳은 2000명이 안 됐지만 주변 사정과 교통 편의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선관위 관계자는 “대학 내 투표소 설치를 허가할 때 지역 선관위에서 부재자 투표 신청 현황을 확인하는데, 이번엔 과거보다 확실히 대학생들의 부재자 투표 신청이 늘었기 때문에 투표소도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2007년 대선 때 대학 투표소는 모두 5곳에 마련됐으며, 2008년 총선 때는 3곳, 2010년 지방선거 때는 15곳의 대학에 투표소가 설치된 바 있다.
선관위는 2010년 지방선거 때까지는 투표소 추가 설치 근거인 ‘신청인 2000명 이상’ 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해와 대학 총학생회 등과 마찰을 빚었고, 시민단체들도 선관위의 소극적인 태도를 비판해왔다. 하지만 선관위는 이번 총선을 앞두고서는 전국 84개 대학을 찾아 직접 관련 규정 등을 안내하고, 2000명이 안 되더라도 주변 사정을 고려하는 등 비교적 적극적인 태도로 돌아섰다. 투표소가 설치되는 주요 대학은 서울시립대와 경희대, 고려대, 연세대, 동덕여대, 부산대, 경북대, 인천대, 충남대, 충북대, 강원대, 원광대, 대구대, 창원대 등이다.
대학생이 아니어도 투표소가 설치된 대학 인근 유권자들도 부재자 신고를 했으면 자유롭게 투표소를 이용할 수 있으며, 투표일은 5~6일이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