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면 “사진 찍으러 왔냐”
안 가면 “수수방관한다”
안 가면 “수수방관한다”
‘갈 수도, 그렇다고 안 갈 수도 없다.’
진도 해역 여객선 참사를 접한 여야 주요 정치인들의 고민이다. 현장에 가면 “사진 찍으러 왔냐”는 실종자 가족들과 유족들의 격렬한 항의에 부닥치지만, 그렇다고 안 가면 “수수방관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여·야는 현재 현장 방문을 자제하고 있다. 사고 직후 현장을 방문했던 김영우 새누리당 의원(경기 포천·연천)은 “격앙된 피해자 가족들 때문에 현장에 있던 다른 정치인이 봉변을 당하는 것을 봤다”며 “서울로 돌아와 당에 현장 방문 자제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고 지역 정치인들은 현장의 요구를 외면하기도 힘들다. 새정치연합 한 당직자는 “피해자 가족들로 부터 장례문제나 현장 지원 문제등 정치권에 해결을 부탁하는 요구가 계속 있다”고 현장 방문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경기도지사 후보로 나선 이들은 곧바로 현장으로 향했다. 이번 참사의 피해자 상당수가 경기도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들인 만큼, 이들 후보자가 사고 수습에 힘을 보탤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의 남경필, 정병국 두 후보 그리고 새정치연합의 김상곤·김진표·원혜영(가나다순) 세 후보는 사고 당일 진도에 내려가 사흘째 현장을 지키고 있다. 남 후보 쪽 관계자는 “사고 당일에는 현장 지휘체계가 갖춰지지 않아 피해자 가족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며 “현장에서 그분들의 요구사항을 정부에 이야기하고, 아픔을 공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라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의 한 후보 관계자는 “(정치인들을 향한) 현장의 분위기가 좋지 않고 후보들이 할수 있는 일이 제한적이다”고 인정하면서도 “민원창구로서 정치인들의 역할을 요구받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여야는 불필요한 오해와 논란을 불러일으키지 않기 위해 몸을 낮추고, 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지원활동에 힘을 쏟기로 했다.
이승준 김경욱 기자 gamja@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