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장현 후보의 광주시장 전략공천에 반발해 예비주자들인 이용섭 의원과 강운태 광주시장이 탈당하는 등 내홍을 겪고 있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안철수 공동대표가 5일 오후 국회에서 비공개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려고 회의장으로 향하고 있다. 오른쪽은 문병호 대표 비서실장.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개혁공천’ 내세웠지만
안산 등 2곳에 그쳐
광주 탈당자 단일화 땐
윤장현 불리 전망까지 ‘흉흉’
안산 등 2곳에 그쳐
광주 탈당자 단일화 땐
윤장현 불리 전망까지 ‘흉흉’
새정치민주연합이 윤장현 전 새정치연합 공동위원장과 제종길 전 의원을 각각 광주광역시와 안산시장 후보로 전략공천하기로 결정한 뒤, 3일 강운태 광주시장과 이용섭 의원 등 경쟁 후보들이 탈당하는 등 거센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새정치연합 지도부는 전략공천을 사실상 중단했다. 결과적으로 새정치연합이 기초선거 무공천 철회를 결정하며 내세웠던 ‘개혁공천’의 취지는 퇴색하고 초라한 성과물만 손에 쥐게 된 것이다.
5일 새정치연합 당직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지도부는 지난 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광주시장과 안산시장을 마지막으로 전략공천은 더이상 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시·도당에는 ‘경선 실시’ 방침을 내려보냈다. 새정치연합 당헌상 전체 후보자의 30% 범위 안에서 전략공천을 할 수 있지만, 광주와 안산 두 곳에 그친 것이다. ‘20% 이상 현역 기초단체장을 물갈이하겠다’는 서울시당 등 대부분의 시·도당에서도 경선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돼, 현역 교체 폭도 애초 예상보다 낮아질 전망이다.
새정치연합 쪽은 개혁공천이 중단된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박광온 새정치연합 대변인은 “공천받은 후보자가 불법행위를 저지르는 경우, 전략공천의 문은 열려 있다”고 밝혔다. 한 당직자는 “무공천을 철회하며 시간이 빠듯한 상태에서 경쟁력 있는 후보를 찾기 쉽지 않은 것도 이유”라고 ‘현실론’을 들었다.
하지만 전략공천 중단 결정이 광주와 안산에서 다른 경쟁후보들의 거센 반발 등 당 안팎에서 불거지는 잡음을 차단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시각도 제기된다. 한 최고위원은 “지금 시점에서 자칫 전략공천을 진행할 경우, 역풍이 불 수 있다는 고민이 있었다”고 말했다. 당 핵심관계자도 “결국 각 지역의 기득권을 내려놓지 못하면서 개혁공천은 물 건너간 모양새가 됐다. 지방선거를 얼마 남겨놓지 않은 가운데 얻은 게 없다”고 인정했다.
이 때문에 여성과 장애인 등 소수자들의 정치권 진입 여지도 덩달아 줄어들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전략공천 중단 방침으로 애초 검토됐던 부산·인천·광주·경기 등 7곳의 여성 기초단체장 전략공천도 백지화됐다. 당 여성위원회는 “개혁공천의 핵심은 여성공천으로, 이는 시대적 소명이고 새정치의 상징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며 ‘지역구 30% 이상 여성 의무공천’을 규정한 당헌 8조 이행을 촉구했다.
야권의 ‘텃밭’인 광주 전략공천이 ‘안심 논란’으로 후폭풍이 쉽게 가라앉지 않는 것도 새정치연합의 고민이다. 광주시장 전략공천에 반발해 새정치연합을 탈당한 강운태 시장과 이용섭 의원 쪽은 “안철수 대표는 새 정치의 명분을 내세우면서 자기 사람을 챙기는 구태 정치를 보여줬다”며 단일화를 통한 무소속 후보 출마를 검토하고 있다. 이 의원은 이날 라디오 프로그램 출연해 “공천심사위원회에서 한 차례 논의 없이 두 사람이 밀실정치를 통해 21세기 정당에서 상상할 수 없는 정치적 테러를 광주시민에게 자행했다”며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를 비판했다.
현재 강운태·이용섭 후보가 무소속 단일화를 성사시켜 윤장현 후보와 일대일 구도로 선거를 치를 경우, 새정치연합이 전략공천을 한 윤 후보가 불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시민들의 선택권을 제한했다”는 광주 지역사회의 반발과 탄탄한 조직력에서 앞서는 강운태·이용섭 후보가 인지도에서 떨어지는 윤장현 후보를 앞설 것이라는 분석이다. 당 지도부의 전략공천이 현재 큰 힘을 얻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윤 후보는 5일 새정치연합 광주시당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자신의 전략공천과 관련해 “광주의 ‘박원순 시장’이 될 수 있다는 판단과 당헌의 규정에 따라 중앙당이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전략공천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이승준 기자, 광주/정대하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