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20일 오후 경기 안산시 단원구 경기도립미술관 강당에서 세월호가족 대책위원회 임원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안산/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유가족들의 반발에 부딪혀 좌초 위기에 놓인 여야 원내대표의 19일 세월호 특별법 재합의를 두고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와 가까운 한 원외 인사는 20일 “아무리 이해하려 해도 납득이 어렵다. 박영선의 정치 인생에 지울 수 없는 오점으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의 19일 여야 합의 배경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서울의 한 재선의원은 “원내대표로서 느끼는 중압감이 컸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내대표에 취임한 지 100일이 넘도록 여야의 협상 성과물이 전무한 상황에서 7월 임시국회가 끝나기 전 ‘밀린 숙제’를 마무리지어야 한다는 정치적 부담을 느끼지 않았겠느냐는 것이다. 박 원내대표가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만나던 19일 회동 장소에선 유가족들의 의견을 받은 쪽지를 든 새정치연합 의원이 다급히 드나드는 모습이 목격됐다. 사전에 유가족들과 합의 내용이 충분히 공유되지 못한 탓이었다. 19일 재합의 결과는 유가족들의 반대로 의원총회 추인을 받는 데도 실패했다. 이를 두고 박 원내대표 쪽은 “유가족과 접촉했던 의원들로부터 동의가 가능할 것이란 메시지를 받고 합의안에 서명한 것인데, 메시지 전달 과정에서 오해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출신으로, 검찰 쪽 내부 정보에 밝은 박 원내대표가 야당 의원들을 겨냥해 들어오는 검찰의 ‘입법로비’ 수사가 신계륜, 신학용, 김재윤 의원에 이어 다른 의원들에게도 확산될 것으로 판단하고 신 의원 등의 구속을 막기 위한 ‘방탄국회’를 결정했을 가능성도 높다. 실제로 19일 의원총회에서는 한명숙·문희상·박지원 의원 등 당 중진들이 “검찰의 정치적 수사로 수수방관해서는 안 된다”며 박 원내대표에게 결단을 요구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원내대표와 가까운 한 초선의원은 “진실이 무엇이든, 합의를 서두르다 빚어진 사고인 것만은 확실하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유가족 동의를 확실히 얻은 뒤 원내대표 회동을 추진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