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 자질 미달’ 발언에
심사 잡음·당선권 배제 불만
심사 잡음·당선권 배제 불만
더불어민주당 청년비례대표 후보들이 21일 청년비례 선출 파행의 책임을 물어 홍창선 공천관리위원장의 사과와 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19대에 이어 두번째로 진행한 청년비례대표 제도가 사실상 폐기될 위기에 놓이자 조속한 재심사와 청년비례 후보 당선권 배치를 요구했다.
이날 11명의 청년비례 후보들은 더민주 당사를 찾아 홍창선 공관위원장과 면담을 시도했으나 공관위 일정을 이유로 불발됐다. 이들은 홍 위원장이 언론인터뷰에서 청년비례 후보들의 자질을 문제 삼으며 “사회경험이라도 쌓고 나서 들어와야지 (국회가) 청년 일자리 하나 구해주는 곳은 아니다” 등의 발언을 한 것을 문제 삼고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또 청년비례 선출 과정에서 불거진 공정성 논란과 특혜 의혹의 책임을 물어 홍 위원장의 사퇴도 촉구하고 있다. 청년비례대표 심사 과정에서 김규완 후보는 홍창선 공관위 위원장이 17대 국회의원이던 시절 의원실에서 7급 비서로 4년간 근무한 경력이 문제가 됐고 결국 후보자 자격이 박탈됐다. 최유진 후보는 비례대표 심사 담당 실무 당직자가 면접 준비를 도운 정황이 드러나 특혜 의혹이 제기돼 후보 자격을 사퇴했다.
당내에서는 심사 과정의 잡음으로 청년비례 제도가 유명무실화돼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더민주 시도당청년위원장협의회도 이날 성명을 통해 “이제 허드렛일만 하고 용도 폐기되는 소모품이 아닌 당당한 구성원으로서, 다음 세대를 이끌어갈 재목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청년 당원과 조직의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