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쟁점
여야, 총선 일자리 공약 쏟아내
청년 활동가 “구호 수준에 그쳐”
여야, 총선 일자리 공약 쏟아내
청년 활동가 “구호 수준에 그쳐”
‘청년’의 마음을 잡는 자가 ‘승기’를 잡는다. 지난달 청년 실업률이 사상 처음 12%를 넘어서는 등 청년 취업난이 ‘쇼크’ 수준에 이르면서 20대의 분노가 오는 4·13 총선에서 투표율로 표출될지 관심이 모인다. 여야 각 정당은 앞다퉈 청년 일자리 공약을 내놓으며 청년층 표심을 공략하고 있지만, 청년 활동가들은 “대체로 실질적인 노력이 없는 구호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2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역대 총선 투표율 자료를 보면 만 20~24살 유권자의 투표율은 18대 총선 당시 32.9%에서 19대 총선엔 45.4%로 12.5%포인트 급상승했다. 만 25~29살 유권자의 투표율도 18대 총선엔 24.2%로 30%에 못 미쳤지만, 19대 총선에선 37.9%로 13.7%포인트 치솟았다. 같은 기간 60대의 투표율은 3.1%포인트 올랐다. ‘반값 등록금’ 등 당시 대학가를 휩쓸었던 청년 이슈가 총선에서 투표율로 드러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12.5%라는 역대 최악의 청년 실업률이 발표되고, 청년들이 ‘분노 투표’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여야 각 정당도 청년층 표심을 붙들기 위해 일자리 공약을 쏟아내고 있다. 새누리당은 1200억원의 청년희망펀드를 바탕으로 청년 취업을 지원하는 청년희망아카데미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당은 일제히 ‘청년수당’ 지급 등을 약속했다. <한겨레>는 지난 22일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에 앞장서온 활동가들을 만나 각 당의 20대 총선 청년 일자리 공약을 평가하고 최우선 과제를 짚어봤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