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부터 만 18살도 선거 참여
‘긍정적 변화’ VS ‘교실 정치화’ 논란
선거 연령 논란 바라보는 당사자 3명
‘최애 정책’ 등 두고 솔직담백 토크~
‘긍정적 변화’ VS ‘교실 정치화’ 논란
선거 연령 논란 바라보는 당사자 3명
‘최애 정책’ 등 두고 솔직담백 토크~
지난해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오는 4·15 총선부터 만 18살도 선거권을 갖게 됐습니다. 현행 만 19살인 선거 연령이 한 살 내려가는 겁니다. 1997년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선거 연령 18살로 하향'을 처음 대선 공약으로 내건 지 23년 만입니다. 올해 총선에 참여하는 만 18살 유권자의 규모는 53만2천명(중앙선거관리위원회 추정치)에 이른다고 합니다.
선거 연령 하향을 두고 교육계에서는 지지와 우려가 엇갈립니다. 만 18살이 선거권을 행사하는 것은 의미있는 변화라며 환영하는 목소리가 나오는가 하면, 일각에서는 ‘교실의 정치화’를 걱정하기도 합니다. ‘만 18살은 스스로 정치적 의사를 결정하기에는 아직 어리다’는 시각도 여전히 존재하고요.
만 18살 유권자의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도 이번 4·15 총선의 변수 가운데 하나로 떠올랐습니다. 선거 공간에 새롭게 모습을 드러낸 이들 18살 유권자의 마음을 사로잡으려면, 참신한 ‘청년 공약’이 나와야 할 텐데 아직까지 크게 눈에 띄는 정책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18살이 된 젊은 유권자는 선거 연령 하향 논란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한겨레TV>가 지난 7일 생애 첫 투표에 나서게 될 2001년생 고등학생 3명을 만나 ‘교실 정치화’, ‘정치적 미성숙’ 등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아울러 이들은 가장 관심 있게 지켜볼 공약으로 모병제, 교육 정책, 학생 인권정책을 뽑았는데요. 만 18살 유권자의 ‘솔직담백 토크’, 그 구체적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해주세요!
연출 박수정 피디 tina@hani.co.kr 촬영 박윤경 기자 ygpark@hani.co.kr
만 18세 선거권과 관련해 2001년생 유권자들이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겨레 TV> 갈무리
만 18세 선거권과 관련해 2001년생 유권자들이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겨레 TV> 갈무리
만 18세 선거권과 관련해 2001년생 유권자들이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겨레 TV> 갈무리
만 18세 선거권과 관련해 2001년생 유권자들이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겨레 TV> 갈무리
만 18세 선거권과 관련해 2001년생 유권자들이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겨레 TV> 갈무리
만 18세 선거권과 관련해 2001년생 유권자들이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겨레 TV> 갈무리
연재B딱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180/imgdb/child/2024/0116/53_17053980971276_2024011650343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00/32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76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807.jpg)




![[B딱] 의사 리원량 떠난 뒤, 중국에선 ‘휘파람 노래’가 들린대 [B딱] 의사 리원량 떠난 뒤, 중국에선 ‘휘파람 노래’가 들린대](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12/112/imgdb/original/2020/0226/20200226502859.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