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7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며 개회를 선언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정부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분산 배치안이 알려지자, 과학계에선 그동안 우려했던 대로 과학벨트가 정치 논리에 휘둘리는 상황이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과학벨트 구상 가운데 기초과학연구원 설립은 과학자들이 그동안 기초·응용 연구의 균형 발전을 위해 줄기차게 요구해온 사안이다. 일본의 이화학연구소나 독일의 막스플랑크연구소처럼 자연대학을 나온 연구인력들을 영입해 중·대형 기초과학 연구를 수행할 기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제완 과학문화진흥회 회장(서울대 물리학과 명예교수)은 “과학벨트는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대형 기초과학연구소가 생기는 것으로, 이를 분산하는 것은 3층짜리 집을 1층은 여기에 2층은 저기에 따로 떼어내 짓는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부 장관을 지낸 채영복 경기바이오센터 이사장도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 입지는 국내의 관점으로 보기보다는 세계적 시야로 봐야 한다”며 “외국의 훌륭한 연구자들이 유럽, 일본, 미국 등 매력적인 연구지들보다도 우리나라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려면 교통이나 교육 등 여러가지 여건이 갖춰져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막스플랑크연구소와 이화학연구소가 여러 지역에 나뉘어 있다는 점을 기초과학연 분산 배치론의 근거로 삼기도 한다. 과학기술인연합의 한 운영위원은 “인구 규모로 볼 때 한국처럼 중간 정도 국가에서는 네트워크화한 분산형이 좀더 많았다”며 “중이온가속기가 핵심이라고 하지만, 중이온가속기를 두고 연구하는 이들이 물리학계 안에서도 전부는 아니기 때문에 모두 모여 있을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이화학연구소는 100년 동안 진화해온 형태로 처음에는 한곳에 우리의 과학벨트처럼 집중된 시설을 만들고 운영하다 규모가 커지면서 분원이 생겨난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재훈 진명선 기자 n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