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소행성 땅속 표본 첫 공개…“숯덩이를 닮았네”

등록 2020-12-28 12:59수정 2020-12-28 14:59

류구 캡슐 내 보관실 3곳 모두 개봉
땅속 물질 가져온 건 처음...최대 1cm
왼쪽은 A보관실의 표면 물질, 오른쪽은 C보관실의 땅속 물질이다. 크기가 확연하게 차이난다. 작사 제공
왼쪽은 A보관실의 표면 물질, 오른쪽은 C보관실의 땅속 물질이다. 크기가 확연하게 차이난다. 작사 제공
3억km 거리에서 날아온 소행성 류구의 캡슐 내 표본 보관실 세 곳이 모두 개봉됐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작사)는 지난 14일 A 보관실을 개봉한 데 이어 21일 B와 C 보관실도 개봉했다고 밝혔다. A 보관실엔 표면 물질이, C 보관실엔 땅속 물질이 들어 있으며, B 보관실은 이물질이 섞였는지 가려내기 위해 비워 놓은 보관실이다. 류구는 탄소질 성분이 주를 이루는 소행성이어서 구성 물질들이 검은색을 띠고 있다.

작사가 공개한 C 보관실 내용물 사진을 보면 땅속에서 수집한 표본은 표면 물질에 비해 훨씬 크다. 작은 숯덩이들이 가득 담겨 있는 것같은 모습이다. 작사는 땅속 표본 중 가장 큰 것은 약 1cm나 된다고 밝혔다. 땅속에 있던 물질은 우주방사선 등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아 태양계 형성기의 상태가 더 잘 보존돼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의 하야부사 1호는 2010년 또다른 소행성 이토카와에서 극미량의 표면물질 입자 1500여개를 가져온 바 있지만, 소행성의 땅속 물질을 가져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_______
인공물은 수집장치의 알루미늄 조각인 듯

작사가 공개한 C 보관실의 표본 사진을 보면, 용기 안에 은색으로 빛나는 인공물이 포함돼 있다. 작사는 "아직 정확히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이는 발사체를 이용해 표본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수집장치 '샘플러 혼'(Sampler Horn)에서 떨어져 나온 알루미늄 조각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A 보관실의 표면 물질은 지난해 2월, C 보관실의 땅속 물질은 지난해 7월에 각각 수집한 것이다. 작사는 현재 A와 C 보관실의 내용물을 별도의 수집 용기로 옮기고, 분류 작업을 벌이고 있다.

앞서 작사는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 우주과학연구소에 보관중인 소행성 표본 캡슐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 애초 수집 목표치인 0.1g의 50배가 넘는 5.4g의 표본이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한 바 있다. 캡슐 용기 겉면에 묻어서 온 표본까지 포함하면 총 표본량은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커피 애호가 몸엔 이 박테리아 8배 많아…카페인 때문은 아니다 1.

커피 애호가 몸엔 이 박테리아 8배 많아…카페인 때문은 아니다

박테리아 꽃부터 유성우 쇼까지…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2.

박테리아 꽃부터 유성우 쇼까지…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초속 1600km 중성자별이 그린 ‘기타 성운’ 3.

초속 1600km 중성자별이 그린 ‘기타 성운’

지구는 진짜로 우리의 유일한 우주선이다 [.txt] 4.

지구는 진짜로 우리의 유일한 우주선이다 [.txt]

숙취 두통 일으키는 핵심 원인 찾았다 5.

숙취 두통 일으키는 핵심 원인 찾았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