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영상회의실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들이 참석하는 ‘제16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가 정부세종청사와 영상으로 연결한 채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 주재로 열리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탄소순배출량 제로)을 실현하기 위해 2030년까지 태양전지 효율을 35%까지 향상하고, 2040년에는 수소로만 철강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31일 “제16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가 오후 2시 정부 서울청사와 세종청사 사이 화상회의로 열려 탄소중립 기술혁신 추진전력과 탄소중립 연구개발 투자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2월10일 2050년까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에너지 부문에서 석탄발전 비중이 높고 철강·시멘트·석유화학 등 탄소 배출량이 많은 제조업 비중이 커 기업과 국민의 부담을 줄이면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과기정통부는 밝혔다.
정부는 31일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혁신 10대 핵심기술'을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기정통부는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다른 부처들이 추천한 산업계·학계·연구계 전문가 88명으로 협의체를 꾸려 탄소중립을 위해 개발할 10개 핵심 혁신기술을 도출했다. 10대 핵심기술에는 △태양광 효율 현 27%를 2030년까지 35% 향상 △풍력발전 용량을 5.5MW에서 2030년 15MW로 대형화 △수소 전주기 기술을 확보해 현 1g당 충전단가 7천원을 2030년까지 4천원으로 인하 △바이오에너지 선도기술을 확보해 화석연료 대비 가격 150%를 2030년까지 100%로 조정 △철강산업의 저탄소 전환을 위해 철강의 경우 2040년까지 100% 수소로 생산하고, 장기적으로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확보 등이 포함됐다.
이밖에도 석유화학의 경우 공정 효율 향상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저탄소 원료를 개발하고 공정도 전기화하는 기술을 확보하기로 했다. 또 탄소중립 건물 기반 기술을 개발해 2030년까지 효율을 3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현재 주행거리가 400㎞에 머물고 있는 무탄소 차세대 수송기술을 향상시켜 2045년까지는 975㎞까지 늘릴 예정이다.
정부는 10대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현장에 신속히 적용할 현장특화형 저탄소화 연구개발(R&D)와 중장기 기초·원천 연구개발의 두가지 경로(투트랙)로, ‘전주기 함께 달리기’ 연구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