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준비된 준설’도 오염
퇴적물 정화에 거액 투입
‘오염 차단’ 엿새 밤샘작업
문제 발생하자 관리 강화
퇴적물 정화에 거액 투입
‘오염 차단’ 엿새 밤샘작업
문제 발생하자 관리 강화
30여년 동안의 공론화, 7억5000만달러로 추정되는 비용 등 허드슨강 퇴적물 정화사업(사진)은 역사상 가장 복잡하고 값비싼 환경준설 사업으로 꼽힌다.
논란의 발단은 1970년대 허드슨강이 맹독성 발암물질인 폴리염화비페닐(PCB)로 오염된 사실이 드러나면서부터였다. 원인을 추적한 결과 제너럴일렉트릭(GE)의 축전기 공장에서 배출한 이 물질이 강바닥에 쌓여 있음이 밝혀졌다.
폴리염화비페닐은 대표적인 잔류성 유기오염물질로 변압기, 콘덴서, 차단기 등의 절연유로 널리 쓰였지만 발암물질로 독성이 강한데다 인체에 흡수되면 잘 배출되지 않아 특별한 관리를 받는 물질이다.
이 회사는 폴리염화비페닐이 든 폐수를 이 물질의 사용이 금지된 1977년까지 30년 동안 방류했다. 뉴욕주는 1976년 낚시를 금지했고, 이 조처는 1995년 잡은 물고기를 먹지 않고 풀어준다는 조건으로 해제될 때까지 계속됐다.
뉴욕 맨해튼을 끼고 대서양으로 흘러드는 허드슨강 상류 64㎞ 구간의 퇴적물이 폴리염화비페닐로 오염된 것으로 드러났다.
오염된 퇴적물을 어떻게 할 것이냐를 두고 논란이 벌어졌다. 오염 원인자로 드러나 정화 책임이 있는 제너럴일렉트릭 쪽은 공연히 퇴적물을 건드려 확산시키는 것보다 자연상태로 놓아두는 편이 낫다고 주장했다. 미국 환경보호청도 1984년에는 ‘노 액션’을 결정했지만, 기상이변 등으로 환경재앙이 닥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 아래 2002년 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2004년에는 작업 과정에서 다시 떠오르는 오염물질을 관리한다는 등의 내용을 담은 작업 지침을 작성했고, 2006년엔 사업자와 당국 사이의 지루한 소송이 협상으로 타결돼 마침내 6년 동안 2단계로 오염 퇴적물 72만㎥를 준설하는 계획이 확정됐다.
지난해 1차 준설은 신속한 공사를 위해 주 6일 철야로 진행됐다. 준설 과정에서 폴리염화비페닐이 강물과 공기 속으로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였다. 100척의 준설 선박을 동원해 걷어낸 퇴적물은 처리장에 모았다가 철도로 텍사스에 옮겨 처분했다.
준설 과정에서 오염물질 확산 여부를 감시하기 위해 사업자는 퇴적물, 공기, 물 등에서 1만8000개 이상의 시료를 채취해 분석했다. 환경보호청은 유독물질이 하류로 다량 흘러가는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2개 마을에는 별도의 급수관을 설치하기도 했다.
이런 만반의 준비에도 1차 준설에서는 퇴적물의 10%인 7만9000㎥를 제거하는 데 그쳤다. 게다가 준설 과정에서 예상보다 오염물질이 많이 환경으로 유출되는 사실이 드러났다.
독립적인 전문가로 구성된 검토위원회가 지난달 결성돼 환경보호청과 제너럴일렉트릭의 보고서 검토에 나섰다. 이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논란 많은 환경준설은 더 엄격한 관리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조홍섭 기자
19세기 폐선의 고고학적 조사를 위해 허드슨 강에 잠수하는 모습. 제네럴 일렉트릭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