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문화체육센터에 마련된 코로나19 서대문구 예방접종센터에서 시민들이 백신 접종을 마친 뒤 이상반응 모니터링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델타 변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4차 유행에서 빠르게 확산하며 우세 변이가 된 가운데,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높은 델타 변이가 중증화율과 치명률 등에서는 어느 정도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위험성이 파악되면 백신 접종률이 올라가는 것과 동시에 통제 중심의 방역보다 일상 회복을 우선으로 두는 방역으로 전환하자는 사회적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7일 지난 1주(7월18∼24일) 동안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 검사를 한 국내 확진자 2249명 가운데 1233명(54.8%)이 주요 변이에 감염됐다고 밝혔다. 특히 확진자 2249명 가운데 48%인 1080명이 델타 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제 우리나라도 델타 변이가 우세형”이라고 말했다.
지난 2월26일 고위험군인 고령층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한 이후 확진자가 중환자가 되는 비율인 중증화율과 사망에 이르는 비율인 치명률은 꾸준히 하향곡선을 그려왔다. 월별 비율을 보면, 예방접종 전인 지난 1월 중증화율은 3.15% 치명률은 1.42%였다. 하지만 요양병원 입원자와 75살 이상 고령층, 60살 이상 고령층 등에 대한 예방접종이 순차적으로 진행된 뒤인 지난 6월에는 이 비율이 각각 2.22%, 0.24%로 낮아졌다. 연령별로 나눠보면, 접종률이 높은 60살 이상의 중증화율은 6월4주(6월20∼26일) 10.08%에서 7월1주(7월4∼10일) 4.83%로 떨어졌다. 접종률이 높지 않은 60살 미만의 경우 같은 기간 중증화율은 1.23%에서 1.13%로 큰 변화는 없다. 이 단장은 “4차 유행으로 전반적인 환자 발생이 커졌지만, 중증화 비율은 60살 이상에서 그렇게 높아지지 않았다. 60살 미만도 높아지지 않았으나 환자 발생 규모가 커지다 보니 중증환자 숫자는 더 늘어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지난 24일까지 국내에서 델타 변이 감염이 확인된 2938명 가운데 누적 위중증 환자는 89명, 사망자는 5명으로 집계됐다. 알파 변이의 경우, 감염이 확인된 2869명 가운데 위중증 환자는 55명이고 9명이 사망했다. 다만 우세 변이가 된 델타 변이의 확산이 치명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이상원 단장은 “입원율은 알파 변이보다 2.2배 높은 것으로 평가되지만, 치명률은 아직까지 명확한 연구 결과가 없다”며 “아직 델타 변이가 치명률이 더 높다는 근거는 없다”고 말했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감염내과)도 “전염력은 확실히 높아졌지만, 주로 상기도 쪽에 바이러스가 증식하기 때문에 중증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며 “결국 중환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연령층이 얼마나 잘 보호돼 있는지가 치명률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감염 뒤 위중증 환자로 전환되고, 그 이후 사망에 이르기까지는 약 한 달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 때문에 델타 변이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끼친 4차 유행의 인명 피해 수준은 8월 중순께 윤곽이 분명해질 전망이다. 이 시기가 되면 50대 연령층 상당수가 1차 접종을 마친 시기다.
이런 상황에서 병원 일선에서 코로나19에 대응하고 있는 일부 전문가들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비롯한 방역 조처와 자영업자의 생계활동 등 일상 사이의 관계 설정을 둘러싸고 서서히 새로운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김남중 서울대병원 교수(감염내과)는 “지난 3차 유행 때는 요양병원 감염 등의 여파로 중환자 병상이 최대 50개까지 찬 적 있었다. 현재는 병상 12개 가운데 환자 5명이 있는 정도”라며 “지금과 같은 분위기라면 2학기 전면 등교를 하기는 어려울 텐데, 경제나 교육 등 사회 다방면에서 발생하고 있는 피해가 있다. 이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방지환 국립중앙의료원 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 센터장도 “지난해 3차 유행 때는 요양병원 집단감염이 잇따르며 중환자실이 꽉 차 있었지만, 이번 유행은 그렇지가 않다”며 “(4차 유행을 주도하는) 젊은층의 코로나19 감염은 확진자도 중증 위험이 낮고 사회적 피해도 적다. 전파력이 높은 코로나와 장기전을 해야 하는 만큼, (전방위적 거리두기를 하기보다) 고령층 등 고위험군 보호와 치료에 대응을 집중하는 것이 전략적”이라고 말했다.
장영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역시 “변이의 치명률과 전파력은 그 자체로 모니터링하면서, 코로나와 함께 살아가기 위한 사회적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혜미 최하얀 김지훈 기자
h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