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전 중구 서울역 광장 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를 찾은 군인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강원도 춘천에 사는 김아무개(35)씨는 며칠 전 일을 생각하면 식은땀이 흐른다. 아내의 코로나19 확진 뒤, 생후 10개월 된 아이가 39도 고열에 시달렸기 때문이다. 다행히 김씨는 증상은 발현됐지만, 확진 상태는 아니라 아이와 함께 병원 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곳에서 신속항원검사를 통해 아이와 김씨 모두 확진 판정을 받았다. 김씨는 “아내뿐 아니라 나까지 이미 확진 상태였다면, 아이는 어떻게 대면진료를 받아야 했을까”라며 “확진 유무에 관계없이 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는 동네 병원이 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27일 0시 기준 196만3839명(집중관리군 27만6992명)이 재택치료를 받고 있는 가운데, 동네 병원 중심의 확진자 대면진료 수요가 커지고 있다. 지역별로 재택치료환자의 대면진료를 위한 외래진료센터가 운영 중이지만 반복된 지침 변경으로 규정이 복잡하고, 확진자에 비해 그 수도 적기 때문이다. 전국의 외래진료센터는 260곳이지만 강원 등은 6곳에 불과해 지역별 편차가 크고, 이 가운데 소아진료가 가능한 곳은 160여곳에 불과하다. 25일부터 동네 병원에서 신속항원 검사를 받은 고위험군(60살 이상·면역저하자) 역시 일반관리군으로 분류돼 ‘셀프 재택치료’를 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대면진료 수요는 더 늘 것으로 보인다.
오미크론의 특성에 맞춰 동네 병원 신속항원검사를 통해 ‘최종 양성’ 판정이 가능하도록 검사 체계를 바꾸었으면, 해당 병원에서 대면진료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코로나19비상대응특별위원회도 지난 22일 회의에서 확진자가 재택치료 중 비대면진료(전화 상담·처방)가 아닌 동네 의료기관에서 대면진료를 받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동네 병원에서의 ‘검사→진단→처방’이 바람직한 모형으로 평가되지만, 코로나19가 1급 감염병 등으로 지정돼 있는 상황에서 쉽지 않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보상체계나 감염병 등급 조정 등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박명하 서울시의사회장은 “현재 코로나19가 1급(격리가 필요한 최고단계 감염병)감염병으로 돼있고, 지침도 바뀌지 않은 상황에서 대면진료를 검토하기는 껄끄럽다. 현장 의료진이 부담스러워 한다”면서 “코로나19 감염 우려에 대한 감염예방관리라든지 수가 등 적절한 보상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대면진료를 위해선 상황별 동선분리 등 보다 구체적인 지침 마련도 필요하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감염내과)는 “동네 병원은 좁은 공간에서 많은 환자를 보는 구조라, 준비 없이 대면진료를 시작하면 코로나19가 의심되는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가 뒤섞이는 문제가 발생한다”면서 “정부가 구체적 지침과 함께 개별 의료기관의 대면진료 준비 자문역할을 해야 한다”고 짚었다.
고위험군의 재택치료가 본격화되면서, 환자의 증상이 중증으로 악화되기 전 진료 활성화를 위해 대면진료 확대 논의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31만8130명으로 4일째 감소 중이지만, 위중증 환자는 1216명으로 11일 만에 1200명대로 증가했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지난 23일 정례브리핑에서 대면진료 확대 요구를 두고 “확진자 숫자들에 비해서 (대면진료 기관이)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전면 대면진료는 향후 준비해 나가야 할 상황”이라면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 전면 대면진료가 진행돼서 확진자들이 증상이 발현하는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의료적 문제가 즉각 대응될 수 있도록 만들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 장현은 기자
mix@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