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연구원, 전·현직 노동자 역학조사
연구원장 “백혈병 연관성 외국서도 논란중”
연구원장 “백혈병 연관성 외국서도 논란중”
반도체공장에서 일하는 여성 노동자가 림프조혈기 계통의 암인 ‘비호지킨 림프종’에 걸릴 위험이 일반인에 견줘 갑절 넘게 높으며, 특히 조립공정 생산직 여성의 위험도는 무려 다섯 배 높다는 역학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산업안전공단 산하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29일 인천 부평구 공단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반도체 제조공정 근로자 건강실태 역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지난 10년 동안 반도체 공장에서 일했거나 일하는 노동자들의 림프조혈기 계통의 암 발생 현황을 일반인구 집단에 견줘 보니, 반도체 공장 여성 노동자는 비호지킨 림프종 발생 위험이 일반인의 2.67배였고, 이 가운데 조립공정 생산직 여성은 5.16배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노동자들을 잇따라 숨지게 했던 백혈병의 발생·사망 위험도는, 통계적으로 볼 때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반도체공장 여성 노동자의 백혈병 사망 위험은 일반인의 1.48배, 발병 위험은 1.31배였다. 박두용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은 “백혈병 위험도 결코 낮지 않다”며 “반도체 산업과 백혈병의 연관성은 외국에서도 논란이 되는 만큼, 정부·기업이 적극적으로 위험 요인을 찾고 예방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원은 이후 장기적인 추적·관찰 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이 역학조사는 삼성전자 기흥공장에서 일했던 황유미씨가 지난해 3월 백혈병으로 숨지는 등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노동자 20여명의 ‘집단 백혈병 의혹’이 불거지면서 이뤄졌다. 연구원은 지난해 말 황씨 죽음과 업무의 연관성을 따지는 결론을 유보한 채, 지난 3월부터 삼성전자·하이닉스반도체 등 회사 6곳과 협력업체 29곳의 전·현직 노동자 22만9천여명의 고용보험자료, 인사자료 등을 분석해 왔다.
이에 대해 유가족들과 ‘반도체 노동자 건강과 인권 지킴이 반올림’은 “통계상 의미 없다는 내용만 모호하게 단순히 나열한 보고서를 인정할 수 없다”며 반발했다. 최원형, 인천/황예랑 기자 circle@hani.co.kr
[한겨레 주요기사]
▶ 검찰 공안기능·사이버범죄 수사 확대
▶ 김형오 의장 ‘여권본색’…, 국회 극한상황 외길수순
▶ 반도체 조립공정 여성, 림프암 발병률 5배
▶ 지역민방도 가세…총파업 전국으로 들불
▶ [박노자칼럼] 대한민국과 그리스식 젊은이 반란
▶ 온가족 나이별로 새해 건강 챙기세요
| |
▶ 검찰 공안기능·사이버범죄 수사 확대
▶ 김형오 의장 ‘여권본색’…, 국회 극한상황 외길수순
▶ 반도체 조립공정 여성, 림프암 발병률 5배
▶ 지역민방도 가세…총파업 전국으로 들불
▶ [박노자칼럼] 대한민국과 그리스식 젊은이 반란
▶ 온가족 나이별로 새해 건강 챙기세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