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탁기형 선임기자 khtak@hani.co.kr
환자 발생 18일 만에 발표하며
‘이름·소재지’ 틀리는 등 허술
해당 병원 방역대책도 안 밝혀
주변지역 되레 불안 커질 우려
‘이름·소재지’ 틀리는 등 허술
해당 병원 방역대책도 안 밝혀
주변지역 되레 불안 커질 우려
정부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발생한 지 20여일 만에야 환자가 발생했거나 거쳐 간 병원 24곳의 명단을 7일 공개했다. 메르스 감염 확산이 경기도 평택성모병원과 삼성서울병원 등 몇몇 병원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이를 막으면 ‘메르스 확산 종식’이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공개한 병원의 이름마저 틀릴 정도로 허둥대는 모습을 보였다. 무엇보다 정부는 이날까지도 자신들의 방역 실패를 인정하지 않는 오만함을 드러냈다. 특히 해당 병원에 대해 어떤 감염 예방 조처를 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내용도 밝히지 않아 되레 병원 주변 주민들의 불안만 증폭시키는 어설픈 ‘뒷북 행정’이라는 비판을 사고 있다.
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어 메르스 진원지인 평택성모병원(37명 확진)이나 삼성서울병원(17명) 등 환자가 발생한 6개 병원의 명단을 발표했다. 또 첫 메르스 확진 환자들이 진료를 위해 찾았지만 의료진이나 환자들이 메르스에 감염되지 않은 의료기관 18곳도 공개했다. 최 총리 직무대행은 “메르스 감염이 병원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병원에 대한 강력한 통제가 불가피하다. 확진 환자가 나온 병원 명단 등의 정보를 국민 안전 확보 차원에서 공개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자택격리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 위해 보건소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등이 격리자 전원을 일대일로 책임관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자택격리자의 휴대전화 위치추적도 추진한다.
정부가 뒤늦게 발병 병원의 이름을 공개하고 격리자의 휴대전화 위치추적에 나선 건 거꾸로 그동안 정부 중심의 대책이 한계에 이르렀음을 반증한다. 병원을 공개한 건 일반 국민과 민간병원의 협조를 얻겠다는 것이고, 중앙 보건당국이 독점하던 확진자 진단을 지방자치단체에 나누겠다는 것도 그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정부의 늑장 대응으로 메르스 감염이 병원 밖으로 대폭 확산될 임계점에 이르렀다는 위기감에 따른 조처다.
정부는 병원 밖 감염 가능성을 두고도 일관된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 최 직무대행은 “일반 국민이 전염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못박아 말했지만 보건복지부는 “밀접접촉 관리만으로는 메르스 차단이 어려워졌다”고 밝혀 병원 밖 감염 가능성을 열어뒀다.
정부가 명단만 공개했을 뿐 이에 따른 방역대책을 밝히지 않아 시민들은 해당 병원을 찾지 않는 것만으로 메르스 감염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인지, 자신이 격리 대상인지 여부를 어떻게 알 수 있는지 혼란만 커지게 됐다. 대한의사협회는 이날 “병원의 이름뿐만 아니라 그 병원에서 메르스 감염 위험자가 방문했던 장소 등을 자세하게 공개해 시민들이 스스로 자신이 자가격리 대상인지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뒤늦은 정보공개에 대한 비난 여론은 이날도 이어졌다.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위원장은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병원은 발생 시점에 공개해야 했고, 공개할 당시에는 감염 확산을 위해 무슨 조처를 했는지 국민들이 알아야 불안감이 줄어들 텐데 이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어 오히려 혼란만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수도권의 한 대학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의료진들에게는 메르스 환자들이 진료받은 병원과 기간을 실시간으로 공개했어야 그곳을 거쳐 온 환자들을 진료할 때 메르스 감염을 진단할 수 있고 또 스스로 감염 예방을 할 텐데 이런 기회를 놓쳤다”고 지적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