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19일 오후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보건복지부-대한의사협회 긴급 간담회’에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오른쪽)을 향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세에도 불구하고 대한의사협회(의협)가 2차 집단휴진을 강행하기로 해, 진료 차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1일 전공의들의 무기한 집단휴진 돌입에 이어, 26일부터는 개원의를 중심으로 의사들이 동참한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정책 등에 반발하고 있는 의협과 정부가 19일 두시간가량 협상을 벌였지만, 양쪽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이날 오후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최대집 의협 회장 등은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만나, 의협이 ‘4대악 의료정책’으로 규정한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한방 첩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 추진 정책에 대해 협의했다. 이 자리에서 박 장관은 코로나19 상황이 엄중한 만큼 의료계가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정부와 함께 보건의료협의체를 구성해 관련 논의를 이어가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최 회장은 정부가 4대 정책을 일단 철회하는 것을 전제로 협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맞서면서 결렬됐다. 이날 협의를 마친 뒤 박 장관은 “지역 간 의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의대 정원을 확대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정부는 적극 논의할 생각이 있다”고 밝혔지만, 의협 쪽은 “정책 철회가 불가능하다는 전제를 회의장까지 그대로 가지고 온 복지부에 유감의 뜻을 밝힌다”고 맞섰다.
의협은 예정대로 집단행동에 나설 계획이다. 우선 21일부터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이 순차적으로 수위를 높이며 무기한 집단휴진에 들어간다. 코로나 중환자들을 치료해야 할 대형병원에 의료진 공백이 생기는 것이다. 이어 개원의 중심의 전국 의사들이 오는 26∼28일 2차 집단휴진을 벌인다. 김대하 의협 대변인은 “서울대병원 등 전공의들은 사직서를 모으고 있고, 전국 의대 본과 4학년생 대부분이 의사 국가고시를 거부할 것”이라며 “다만 필수 의료기능은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