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차량 속속 복귀
전국운수산업노조 화물연대의 파업이 이레째인 19일 사실상 타결됐다.
화물연대와 컨테이너운송사업자 협의회(CTCA)는 이날 오후 부산지방 해운항만청에서 5차 협상을 열고 정부가 전날 제시했던 운송료 19% 인상 타협안을 받아들였다. 대한통운·현대택배·㈜한진 등 14개 운송업체로 꾸려진 컨테이너협의회는 국내 컨테이너 화물의 60%를 점유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화물연대가 20일부터는 전국적인 집단 운송거부를 철회하고 사업장별 운송료 협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날 낮 12시 현재 운송 거부 차량은 1만1386대로, 정점이었던 16일(1만3496대)에 견줘 15.6% 줄었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에는 일부 사업장별로 운송료 협상이 잇따라 타결돼, 오전 중 2110대가 현장 업무에 복귀했다.
화물연대는 또 제도개선의 핵심 요구사항으로 내건 표준요율제(구간별 최저운임을 정기적으로 정하는 제도)에 대해 “시범운영 뒤 2009년까지 법제화하겠다”는 정부의 제시안을 받아들였다. 표준요율제 위반 때 처벌할 수 있는 조항의 삽입 문제는 시범운영 뒤 정하기로 했다. 화물연대는 이번 파업 기간에 ‘올해 안 법제화 및 표준요율제 위반 때 처벌조항 삽입 명시’를 요구해 왔다.
이날 화물연대 본부와 컨테이너운송사업자 협의회, 정부 사이의 협상은 끝났지만 화물연대 부산지부는 부산지역 철강회사와 벌이고 있는 협상 지연을 이유로 “운송 거부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화물연대가 협상을 요구한 전국 178개 사업장 중 131개 사업장에서는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어 물류난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글로비스를 상대로 협상을 벌여온 화물연대 울산지부 카캐리어분회는 잠정 합의안을 마련했다가 조합원 투표로 부결시켰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차주들이 파업한 것은 이해할 수 있다. 역사상 이런 급격한 유가 인상이 없었으므로 생계적 투쟁”이라며 “(운송료의) 30~40%는 물류 과정 중간에 소모되는 시스템을 이번 기회에 재검토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송창석 김광수 기자 number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