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6일 박성제 문화방송 사장이 서울 마포구 상암동 문화방송 경영센터에서 올림픽 방송 관련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열었다. <문화방송> 제공
2020 도쿄올림픽 개막식 등에서 부적절한 사진·자막 사용으로 국제적 비판을 받은 <문화방송>(MBC)이 9일 ‘콘텐츠 신뢰회복을 위한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문화방송>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도쿄올림픽 방송 논란을 계기로 전사적 혁신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문화방송>은 먼저 올림픽 기간 발생한 사고의 원인을 △구성원들의 공적 가치에 대한 인식 미비 △콘텐츠 제작 시스템 전반의 체질적 한계로 진단했다.
쇄신안으로는 △‘엠비시(MBC) 공공성 강화 위원회’ 설치 △각 국장 산하 콘텐츠 다양성 검토하는 담당자 지정 △임직원들의 인권 의식 체화를 위한 집중 교육 도입 등을 제시했다.
‘엠비시 공공성 강화 위원회’는 전원 <문화방송> 외부 인사들로 구성할 계획이다. <문화방송>은 “(위원회는) 현재 도쿄올림픽 방송 사고와 관련해 운영 중인 ‘2020 도쿄올림픽 방송 관련 조사위원회’가 작성할 조사보고서 등을 바탕으로, 본사 내부 관행과 조직문화, 책임과 윤리 관련 제도를 전면 재검토해 모든 엠비시 콘텐츠의 품질과 신뢰도를 끌어올릴 수 있는 규범 체계를 마련하는 역할을 맡는다”고 설명했다. 또한 위원회는 ‘엠비시 콘텐츠 가이드라인: 공적 가치, 원칙과 기준’(가칭)을 제정한다.
<문화방송>은 또한 각 국장 산하에 콘텐츠 다양성을 검토하는 담당자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방송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게이트키핑 시스템을 강화할 계획이다. 콘텐츠 다양성 담당자는 사고 예방과 공적 가치를 기준으로 콘텐츠 기획안 등을 점검한다. 기존 심의부에는 ‘인권심의 위원회’(가칭)를 새로 설치해서 인권과 성평등, 문화 다양성 등에 대한 심의를 거치도록 한다.
<문화방송>은 “이번 도쿄올림픽 방송사고와 관련한 조사는 진행 중이며, 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관련 책임자와 제작진에 대한 인사조치 등을 단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효실 기자
tran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