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외할아버지 박춘근, 아빠 김두희와 아들 김재한, 외할머니 김이숙, 엄마 박진이씨. 사진 박춘근씨 제공
김재한에게 외할아버지가 주는 글
우리 강이(태명·김재한)는 지난해 12월 24일 19시 28분에 태어났다. 언감생심, 그리스도의 탄생과 견줄 생각은 터럭만큼도 없다. 하지만 사실이 그런 걸 어쩌랴. 손주를 위해 촛불을 밝히고 기도했다. 너는 예수님 같은 삶은 꿈도 꾸지 말고 그저 네 한 몸 맑고 밝고 향기롭게 살다 가라고.
그런데 사돈 어른도 참, 외손주 넷 볼 때까지 경기도 이천 신둔면을 떠난 적이 없다고 했는데 친손주가 그리 좋으실까. 기다렸다는 듯 바로 그 이튿날 아침 눈 뜨자마자 엄동설한에 사부인 대동하고 오셨다!
장동리 당신 집에서 10여 분 걸어 나와 ‘24-4번’ 버스 타고 이천역까지, 다시 양재역~백석역 빙빙 돌아 일산 병원까지 대여섯 번 차를 갈아타고 세 시간이 넘는 거리를 단숨에 오시더니 글쎄, 눈인사도 건성건성 숨도 고르지 않고 신생아실 앞에 드리워진 커튼만 바라본다. 그 큰 몸집 까치발 딛고 쫑긋쫑긋 좁은 틈새 비집고 창문 너머 간호사가 안고 있는 손주를 바라본다. 끊임없이 싱글벙글 도톰한 함지박 입 다물지 못하니 나 원 참, 옆에서 쫑쫑이며 곁눈질하다가 한 마디 했다.
“우리 강이는 친가를 많이 택했는갑소. 눈 크고 앞이마 훤한 것이 영락없는 사돈이요, 길쭉한 입 꼬리와 뚜렷한 입술 선은 사부인을 빼닮았응께.”
인사치레로 푸짐하게 보태 한 말씀 했는데 사돈댁 겸양은 마실 갔나? 성탄절 전야라 음식점마다 장사진이라, 어렵게 자리한 ‘조선초가 한끼’에서 육전 한 점 드시다 말고 상글방글, 탕탕이 한 젓갈 드시다 말고 싱글벙글. 이리 말해도 하하하, 저리 말해도 허허허. 무슨 놈의 육전은 그리 짐짐하고 곰실곰실, 탕탕이는 왜 그리 흉측하게 보이는지….
박춘근씨의 외손주 김재한 아기. 사진 박춘근씨 제공
사돈 내외 떠나신 뒤에 눈매, 입매, 콧매, 이마, 하나하나 뜯어보니 누가 봐도 친탁이라. 어리바리 절레절레 새들새들 티가 났나? 빤히 보던 마누라님 혀를 차며 한 말씀.
“기다려 봐요. 요놈이 머잖아 지어미보다 당신을 더 좋아할 걸. 지어미 어렸을 때보다 아장바장 당신 더 쫓아다닐 걸. 그때 가서 귀먹은 푸념일랑 하지 말고 외탁 친탁 가리지 마요. 익은 밥 먹고 선소리하지 말고 애나 잘 봐요. 그래도 귀는 당신을 많이 닮았어요.”
없는 말 한 마디 보탠 걸 내 모를까? 귓불인지 귓바퀴인지 모르지만 얼마나 짠했으면…. 중요한 건 그날 이후 강이 얼굴 볼 때마다 사돈 얼굴 떠올라 그날의 부아가 스멀스멀 다시 도질 때도 있지만 아서라, 그런 걸 따져서 엇따가 쓴다고? 그래도 귀로 눈이 더 가는 건 어쩔 수 없다.
그런데 강이를 보러 왔던 아들이 거든다. 나중에 알았지만 딴에는 ‘짜자잔’ 하면서 깜놀할 소식을 전하려던 아들이 제풀에 겨워 그만 발설하고 만 것이다. 아빠 닮은 친손주가 지금 잘 자라고 있다 하며 며칠 전 찍었다는 동영상을 보여준다.
‘떵이’(태명)의 심장박동 소리가 우렁차다. ‘슉슉슉슉슉…’, 빠르고 경쾌한 비트음이 이어진다. 다시 들어보니 증기기관차 엔진소리처럼 힘차고 율동적이다. “아빤 안 보여? 여기가 눈! 요긴 코, 입술. 잘 봐, 손톱도 보이잖아. 누가 봐도 할아버지 닮았구만!” 하더니 내 이맛머리를 쓸어 올린다. 제대로 드러나지도 않은 얼굴 윤곽이랍시고 핸드폰을 코밑에 들이밀며 씩 웃는다.
맞다! 차라리 떵이도 외탁이면 좋겠다. 시원시원한 키, 우람한 체격, 사글사글한 얼굴, 걸걸한 목소리, 고운 맘결에 아무리 드셔도 허술한 데 보이지 않는 당당함…, 내가 감히 넘보지 못할 수원 사돈이 떠오른다.
예끼, 이놈아. 아무려면 어떠랴. 내 새끼가 났으면 그만이지, 누가 뭐라든.
외할아버지/박춘근
<한겨레>는 1988년 5월15일 창간 때 돌반지를 팔아 아이 이름으로 주식을 모아준 주주와 독자들을 기억합니다. 어언 32돌이 지나 그 아이들이 부모가 되고 있습니다. 저출생시대 새로운 생명 하나하나가 너무나 소중합니다. ‘축하합니다’는 새 세상을 열어갈 주인공들에게 주는 선물이자 추억이 될 것입니다. 부모는 물론 가족, 친척, 지인, 이웃 누구나 축하의 글을 사진과 함께 전자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한겨레 주주통신원 (mkyoung60@hanmail.net 또는 cshim77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