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판] GIS 뉴스
없는 이에게 겨울은 더 춥다. 일반주택이 아닌 거처로는 상가·공장 등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이 있다. 여기에다 숙박업소의 객실, 고시원, 기숙사, 특수 사회시설, 판잣집, 비닐하우스 등 ‘주택 이외의 거처’가 있다. 2010년 인구총조사를 보면, 비주거용 건물과 주택 이외의 거처에 56만6301가구가 산다. 지역별로 서울, 경기, 부산, 인천, 경남 차례로 많다.
이런 주거시설에 사는 사람들의 경제적 여건은 다양하다. 하지만 그중 취약계층은 주택정책의 사각지대에 열악한 상태로 방치되기 쉽다. 사단법인 한국도시연구소가 지난 9월에 펴낸 <도시와 빈곤> 제99호를 보면, 영국이나 미국 등에선 최소한의 주거위생과 안전평가시스템을 만들어 평가한다. ‘빈곤가족의 마지막 잠자리’를 개선하는 정책이 우리나라에서 나왔으면 좋겠다.
송규봉/GIS유나이티드 대표
<한겨레 인기기사>
■ 1963년, 67년, 71년…그리고 2012년!
■ 술 취하면 ‘애미 애비도 몰라보는’ 우리집 큰아들
■ 삼성 앞 유세 현장, 후보와 경찰이 뒤엉켰다
■ 문경새재 고라니 연쇄추락사건
■ “후텐마기지가 그렇게 좋으면 도쿄로 가져가라”
■ 부산이 들썩인다…광장 가득 “문재인 안철수” 연호
■ [화보] 다시 만난 문재인-안철수 ‘우리 포옹할까요’
■ 1963년, 67년, 71년…그리고 2012년!
■ 술 취하면 ‘애미 애비도 몰라보는’ 우리집 큰아들
■ 삼성 앞 유세 현장, 후보와 경찰이 뒤엉켰다
■ 문경새재 고라니 연쇄추락사건
■ “후텐마기지가 그렇게 좋으면 도쿄로 가져가라”
■ 부산이 들썩인다…광장 가득 “문재인 안철수” 연호
■ [화보] 다시 만난 문재인-안철수 ‘우리 포옹할까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