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룡의 진학 상담실
유성룡의 진학상담실 /
Q : 중3 아이를 둔 학부모입니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대학입시가 자율화되고, 수능시험의 응시 과목이 줄어든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아이가 대학에 들어가려면 어떻게 공부하면 될까요?
A : 이명박 정부의 대입 자율화 정책은 3단계로 진행됩니다. 올해부터 진행되는 1단계에서는 수능시험이 점수제로 바뀜에 따라 성적표에 등급뿐만 아니라 표준점수와 백분위가 함께 제공되고, 대학들은 이를 자유롭게 활용해 신입생을 뽑습니다. 또 수능시험과 학생부와 논술고사 등의 반영 유무와 반영 비율을 대학이 자율로 정할 수 있습니다. 2단계는 현재 중3 학생들이 수험생이 되는 2012학년도부터 적용되는 단계로 수능 과목이 8과목에서 최대 5과목으로 줄어되고, 2013학년도부터는 영어를 수능시험에서 분리해 영어능력시험을 대체한다고 합니다. 바로 이 단계가 귀댁의 자녀가 치러야 할 대학입시가 됩니다. 수능의 축소는 탐구 영역과 외국어 영역을 합쳐 선택 과목이 2개를 넘지 않도록 조치해 현행 8과목을 최대 5과목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즉, 언어·수리·외국어(영어) 영역은 그대로 두고 탐구 영역의 최대 4과목 응시와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1과목 응시를 합쳐 최대 2과목 응시로 줄이겠다는 것입니다. 2012학년도부터 외국어(영어) 영역이 폐지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질문을 받곤 하는데, 수능 외국어(영어) 영역은 2013학년도에 폐지됩니다. 마지막 3단계는 대학입시 완전 자율화로 2013학년도 이후입니다.
그런데 내용을 보면 이는 대학입시 입안자, 즉 대학 입장에서 자율화이지, 수요자인 학생의 입장에서는 자율화라고 볼 수 없습니다. 그저 대학이 정한 입시안에 따라 대비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자녀가 치르게 될 2012학년도 대학입시가 어떻게 시행될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어, 구체적인 대비법을 알려드리기 어렵습니다.
다만 한 가지 지금껏 대학입시 제도가 수차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국어·영어·수학을 잘하면 손해 볼 일이 적다는 것입니다. 현재 자녀가 중3이므로 국어·영어·수학 공부를 기초를 착실히 다진 뒤 고등학교에 진학해 적성과 진로에 맞는 학과와 대학을 살펴보고, 희망 대학의 입시안에 맞춰 대비하는 게 좋습니다. 이때 희망 대학의 학생부 반영 교과목과 수능시험 반영 영역, 논·구술 등 대학별고사 실시 여부 등을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 특별 전형 진학을 염두에 둔다면 해당 특별전형의 자격 요건을 따져봐야 합니다. 만약 어학 특기자로 대학에 진학시킬 계획이라면 해당 어학 공인 시험을 좀더 일찍 응시하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학년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수능시험과 논술고사 대비 때문에 이에 대비하기가 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입시분석가 / SK커뮤니케이션즈 이투스 입시정보실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