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국제중 입학전형안의 문제점
‘초등 학생부 반영’ 성적기재 부활 가능성
교장 추천 받으려 ‘내신 사교육’ 불붙을듯
경시대회 실적배제 ‘눈가리고 아웅’ 지적
경시대회 실적배제 ‘눈가리고 아웅’ 지적
교장 추천 받으려 ‘내신 사교육’ 불붙을듯
경시대회 실적배제 ‘눈가리고 아웅’ 지적
경시대회 실적배제 ‘눈가리고 아웅’ 지적
서울시교육청이 19일 국제중 입학전형 계획을 발표하면서 “사교육 없이도 입학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공언했지만, 교육현장에서는 “사교육을 폭증시키고 초등학생들을 입시지옥으로 몰아넣을 것”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시교육청은 국제중 입시에서 토익·토플 등 영어인증시험과 각종 사설 경시대회 수상 실적 배제, 문제풀이식 구술면접이나 영어면접 금지, 학교생활기록부 적극 반영 등을 근거로 “국제중 입시 대비 사교육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영어인증시험과 경시대회 수상 실적을 생활기록부에 기재하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시교육청의 방침에 대해 교사들은 어이가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초등학교 교사는 “올림피아드·경시대회 등 ‘공인대회’ 수상실적은 학생들의 특기적성을 잘 보여주기 위해 지금도 비교과 항목이나 종합의견 등에 꼼꼼히 적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사는 “국제중 입시경쟁이 본격화하면 경력 사항을 한 줄이라도 더 적기 위해 이런 시험을 치는 학생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생활기록부만을 이용해 선발하는 1단계 전형도 학교에서 별도의 시험을 치르게 하거나 줄세우기식 성적 표기를 부추길 가능성이 크다. 서울의 한 현직 교장은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등수를 매기는 식으로 성적 기재 방식을 바꾸거나 교장 추천을 받을 학생을 가리기 위한 개별 학교 차원의 시험이 생길 수도 있어 결국 ‘내신 사교육’이 폭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영어 위주의 선발을 피하겠다면서 ‘영어몰입교육’을 하겠다는 것도 모순이라는 지적이 많다. 김정명신 함께하는교육시민모임 공동대표는 “어차피 입학 뒤에는 국어와 국사를 뺀 모든 과목을 영어로 수업해야 하기 때문에 선행학습 차원의 영어 사교육이 더욱 기승을 부릴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가평 청심중 등 다른 국제중에 복수지원이 가능하도록 한 것도 사교육을 부추길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박범이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 서울지부장은 “국제중 입시학원에서도 청심중 입시를 준비한 학생들은 서울 국제중 입시에서도 유리하다고 광고한다”며 “서울 학생만 지원할 수 있는 영훈·대원중과 달리 청심중은 전국 단위로 모집을 하기 때문에 학생과 학부모들이 두 곳 모두 지원하기 위해 사교육에 매달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원들의 과당경쟁을 단속할 방법도 없는 상황에서 특별히 국제중 대비 학원에 대해서만 지도·단속을 강화하겠다고 엄포를 놓는 것도 무책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홍이 서울시교육위원은 “지역교육청마다 학원의 불법영업을 단속할 인원이 없다고 아우성인 상황에서 단속 강화는 공염불에 불과하다”며 “오히려 당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2차 전형을 준비하기 위한 면접·토론 학원이 활개를 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입학정원의 7.5%를 소외계층에 할당하겠다는 계획도 ‘구색 맞추기’라는 비판이 나온다. 실제 시교육청은 지난해 국제고 입시에서 사회적 배려 전형에 15명을 배정했지만 결국 4명만이 지원해 생색만 냈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현인철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변인은 “국제중은 등록금 500만원에 특기적성비 등 수익자 부담 비용까지 합치면 1년 교육비가 1천만원을 훌쩍 넘을 것”이라며 “소외계층 할당은 ‘귀족학교’라는 비판을 무마하려는 꼼수일 뿐”이라고 꼬집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