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법입학’ 자사고로 조사 확대
서울시교육청이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사회배려대상자 전형의 편법 지원 여부에 대한 조사(<한겨레> 22일치 10면)를 중학교에 이어 자사고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23일 “오는 26일까지 중학교 교장들을 상대로 조사를 마친 뒤 직접 자사고들을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교육청의 이런 방침은 중학교 교장들 사이에서 “자사고의 묵인 아래 추천이 이뤄진 일인데 애꿎은 중학교 교장들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사회배려대상자가 아닌 학생에게 추천서를 써줬다는 서울 영등포구 ㄷ중 교장은 “대상자가 아닌 학생의 학부모가 찾아와서 ‘자사고 입학설명회에서 가난하지 않은 학생도 지원할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며 추천서를 써달라고 해, 해당 자사고 입학담당자에게 물어 보니 ‘정원에 미달이라서 보내도 된다’고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그런데 교육청이 조사에 들어간 뒤에는 자사고 쪽에서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말을 바꾸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 교장이 전화로 확인했다는 ㅇ고의 교장은 이에 대해 “할 말이 없다”며 확인을 거부했다.
학부모의 요구에 어쩔 수 없이 추천서를 써줬다는 용산구 ㅇ중의 교감 역시 “학부모가 원서를 써달라는 자사고에 직접 전화해 써줘도 괜찮다는 확인을 받고 추천서를 내준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울 시내 한 자사고 교사는 “지난해 자사고가 교사들을 동원해 신입생을 모으려고 일선 중학교를 돌면서 홍보활동을 할 때 ‘학교장 추천이라는 게 있으니 일반 학생들도 지원할 수 있다’고 얘기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자사고 사회배려대상자 전형에 학교장 추천으로 편법 지원해 합격한 사례들도 확인되고 있다. 용산구 ㅇ중의 경우, 사회배려대상자가 아닌데 학교장 추천을 받은 학생이 4명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날 서울 외에 자사고가 있는 다른 시·도 교육청도 사회배려대상자 전형 편법 운영 여부에 대한 점검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자사고는 서울이 18곳으로 가장 많고 부산 2곳, 대구·광주·경기·충남·경북에 각각 1곳씩이 있다.
진명선 이춘재 기자 torani@hani.co.kr
진명선 이춘재 기자 torani@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