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
[난이도 수준-중2~고1]
87. 인문 정신과 언어 예술의 관계
88. 풍속화에 담긴 뜻89. 공연 예술과 국어 문화
※ 아래 설명에 해당하는 작품은?
그럼 그의 그림을 한번 살펴볼까요? 지금 보는 것은 <무동> 또는 <삼현육각>으로 부르는 작품입니다. 삼현육각은 북, 장구, 두 개의 피리, 대금, 해금 등 여섯 악기가 한 팀을 이룬 연주를 말하는데요, 순수 우리 악기로 구성된 조선의 오케스트라인 셈이지요.
그림 속 소년은 삼현육각에 맞춰 덩실덩실 춤을 춥니다. 절로 신명이 났는지 한 발엔 무게중심을 잡고 다른 발은 들어 올린 채 두 팔을 휘휘 내젓습니다. 연주자들도 제 흥에 겨워 어깨춤을 들썩이며 한껏 분위기를 돋웁니다.
- 이명옥, <미술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것들>(다빈치)
예술 작품을 감상할 때는 작품의 내용과 그 속에 담긴 아름다움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작품에 담긴 아름다움은 기쁨이나 슬픔, 즐거움이나 분노 등과 같이 인간의 다양한 정서를 순화하는 역할을 한다. 작품의 내용이나 성격, 작품이 만들어진 시대와 사회, 작품을 만든 사람 등을 이해하며 감상하는 일은 예술적 수용 능력을 기르는 데 꼭 필요한 일이다. <보기>의 삼현육각이나 소년의 행위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는 풍속화는 ①이다.
※ 다음 글을 읽고 ‘풍속화’를 감상하는 자세를 주제로 짧은 글을 쓰시오.
풍속화란 한마디로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묘사한 그림을 뜻해요. 말 그대로 사람이 살아가는 모습을 그림에 담은 것이지요. 풍속화의 역사는 저 멀리 그리스와 로마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리스 시대에 만든 도자기를 보면 도예공방에서 도자기를 빚거나 여자가 물을 긷고 화장하는 모습, 치열한 전투 장면이나 주사위놀이를 하는 남자 등 흥미로운 장면들이 나옵니다. 후세 사람들은 이런 풍속화를 통해 그리스인들의 옷차림과 음식, 활동을 추측할 수 있어요. 그래서 풍속화는 당시 생활상을 이해하는 좋은 자료가 되기도 합니다.
|
‘허재영의 국어능력교실’ 답안
풍속화를 감상할 때에는 그 그림이 만들어진 시대의 생활상을 이해하며 감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
|
허재영 단국대 교양학부 교수
hjy435@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