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9월 평양으로 온 오재식은 당시 오정모 전도사(오른쪽)가 지도한 산정현교회 주일학교에서 엄격하고 원칙적인 신앙생활을 배웠다. 35년 주기철 목사(왼쪽)와 결혼한 오 전도사는 44년 신사참배 거부 끝에 순교한 주 목사의 뜻을 이어 교회를 이끌다 47년 별세했다.
오재식-현장을 사랑한 조직가 7
1906년 1월 평양 장대현교회에서 분리·설립된 산정현교회는 일찍이 조만식 선생이 장로를 지내는 등 조선예수교장로회의 본산 가운데 하나였다. 특히 36년 8월 주기철 목사가 부임한 이래 교회는 엄격한 정통주의적 신앙생활을 강조했다. 경남 창원 출신인 주 목사는 어린 시절 가정에서부터 철저한 신앙 교육을 받았으며, 신학을 배우고 목회를 하는 동안 신앙생활에 대한 원칙을 세워 나갔다. 이런 주 목사에게 신사참배는 십계명의 제1계명과 2계명을 어기는 행위였다.
신사참배 반대운동으로 일제와 맞선 주 목사가 44년 4월 감옥에서 순교한 뒤 산정현교회의 신앙교육을 이끈 사람은 오정모 전도사였다. 오 전도사는 31년 당시 주 목사가 시무하던 마산 문창교회에서 주일학교 교사이자 집사로 인연을 맺었다. 주 목사의 첫번째 부인인 안갑수 사모는 종기 수술 후유증을 앓으며 자신이 곧 죽을 것을 예감하고는 오 전도사를 불렀다. 그러고는 당시 15살·12살·7살 그리고 갓 돌이 지난 막내 광조와 주 목사의 뒷바라지를 부탁하는 유언을 남긴 채 33년 5월 34살 이른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교육가를 꿈꾸며 서른살이 훨씬 넘도록 결혼을 하지 않았던 오 전도사는 아이들과 남편을 부탁하는 그 유언을 뿌리칠 수 없었다.
오 전도사는 아주 꼿꼿한 여성이었다. 그는 35년 결혼한 이래 주 목사가 최후까지 일제에 항거할 수 있도록 옆에서 끊임없이 독려했다. 주 목사가 39년 1월 두번째 수감생활을 마치고 풀려났을 때 그가 한 첫마디는 이랬다. “승리요? 만약 그렇지 않다면 다시 감옥에 들어가시오.” 혹시 끝까지 신사참배를 거부한 ‘정신 승리’가 아니라, 일제에 굴복하고 풀려난 것이 아니냐는 뜻이었다.
그 뒤로도 되풀이된 투옥과 고문으로 심신이 약해진 주 목사가 조금이라도 흔들리는 듯하면 그는 “당신, 신사참배에 찬성하고 거기에 무릎 꿇기만 해봐요. 전 당장 이혼할 겁니다” 하면서 압박하기도 했다. 그만큼 그는 한국 교회의 미래와 기독신앙을 위해 주 목사의 행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간파하고 있었던 것이다.
주 목사가 감옥에 있는 동안 산정현교회는 방계성 전도사를 중심으로 주 목사 석방을 위한 금식기도를 하는 등 전체 교인들이 더 단단히 뭉쳤다. 하지만 산정현교회와 주 목사를 괴롭힌 것은 일제만이 아니었다.
39년 12월 일제의 강압에 굴복한 평양노회는 임시총회를 열어, 38년 9월 제27차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의 신사참배 결의와 총회장(홍택기)의 경고문을 무시하였다는 이유로 주 목사를 파면하였다. 이에 따라 평양노회에서 파송된 전권위원들이 산정현교회를 접수하러 오자 청년회원들이 막아섰고, 그 과정에서 소요가 일었다. 그 때문에 청년회원 30여명이 일경에 연행되기도 했다.
이처럼 날로 거세지는 외압에 전 교인들이 힘을 합치며 이겨나가는 데 가장 든든한 버팀목이 바로 오 전도사였다. 그는 전 교인을 모아놓고 찬송과 기도를 인도하였는데, 그 위력은 상당한 것이어서 기세에 놀란 전권위원들이 꼼짝을 못했을 뿐만 아니라 일경조차 감히 손을 못 댈 지경이었다.
오 전도사는 자주 금식기도를 하며 기도의 힘으로 믿음과 신앙을 꼿꼿하게 지켜나갔다. 아주 사납게 굴던 사람들도 오 전도사가 그 앞에서 기도를 시작하면 순한 양처럼 변하곤 했다는 일화도 전해온다.
재식이 산정현교회를 나가던 45년 가을 무렵 주일학교 교장도 맡고 있던 오 전도사는 아이들의 신앙생활을 철저하게 맹훈련시켰다. 이를테면 이런 식이었다. ‘안식일을 지켜야 된다’ ‘주일날 밥하면 안 된다. 주일에는 전날 한 찬밥을 먹되 금식하면 더 좋다’ ‘주일엔 돈 쓰면 안 된다’ ‘토요일은 교회에 와서 철야기도해라’ 등등.
물론 오재식은 이런 교회의 규율에 철저하게 복종했다. 주일예배 전에는 반드시 한 사람을 전도해 와야 한다는 규율에 따라 재식은 자주 거리로 나가 모르는 사람에게 말을 건네고 교회까지 데려오곤 했다.
바로 그처럼 엄격한 주일학교 교육이 재식에게 주일과 겹친 숭덕중학교 입학 면접시험을 포기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주일에는 무슨 일이 있어도 교회에 간다는 것, 그것은 재식에게 너무나도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훗날 월남한 재식은 서울의 한 교회에 갔다가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다. 주일날 교인들이 식당에서 밥을 사먹고 있었던 것이다. 주일날 교회에서 밥을 짓고, 교인들이 돈을 주고 사먹는다는 것은 오 전도사의 가르침을 따랐던 그로선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오재식 구술
구술 정리/이영란 작가
<한겨레 인기기사>
■ 나이 어린 정규직이 ‘이놈저놈’ 욕설…작업 밀려 화장실도 마음대로 못가
■ 내성천 알고보니 병도 고치더라
■ 머리 위 하얀 불청객 ‘비듬’ 아이·어른 원인 달라
■ 이혼·별거 중인 중년남녀 건강상태 비상
■ 여기도 저기도 똑같은 커피전문점…왜?
고 오재식 선생
<한겨레 인기기사>
■ 나이 어린 정규직이 ‘이놈저놈’ 욕설…작업 밀려 화장실도 마음대로 못가
■ 내성천 알고보니 병도 고치더라
■ 머리 위 하얀 불청객 ‘비듬’ 아이·어른 원인 달라
■ 이혼·별거 중인 중년남녀 건강상태 비상
■ 여기도 저기도 똑같은 커피전문점…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