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중학교의 등교 수업이 확대된 14일 오전 서울 양천구 월촌중학교에서 학생들이 수업 시작 전 담임교사로부터 방역 수칙을 교육받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광주의 한 직업계고는 14일 1·3학년과 2학년으로 나눠 배식을 하는 이른바 ‘2부제 급식’을 했다. 이날부터 전국 직업계고에 전면등교가 시행됐기 때문이다. 3분의 2만 등교하던 지난주까지만 해도 한 학년씩 나눠서 배식을 했다. 문제는 이 학교의 급식실이 코로나19 이전에도 2부제 급식을 할 정도로 학생수에 견줘 크기가 작다는 점이다. 이 학교 교사 ㄱ씨는 “우리 학교는 한 번에 한 학년이 배식을 받아야만 한 칸씩 띄어앉기 등 거리두기가 가능한 상황”이라며 “ 1·3학년을 묶어 배식을 해보니 동선이 중복되는 등 거리두기가 너무 힘들었다”고 말했다.
2학기 전면등교를 앞두고 이날부터 수도권 중학교의 하루 최대 등교 가능 인원이 전교생의 3분의 1에서 3분의 2로 늘어나고, 전국 직업계고는 전교생이 매일 등교를 하게 되면서 학교별로 급식실 거리두기에 비상이 걸렸다. 급식실은 등교 뒤 유일하게 마스크를 벗고 식사를 해야 하는 공간이라 코로나19 감염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일선 영양교사들은 당장은 2부제 등을 통해 대응할 수 있겠지만 전면등교가 이뤄지는 2학기에는 배식인력 확충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급식실 운영 자체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고 호소했다.
서울의 한 중학교도 이날부터 등교 인원이 1개 학년에서 2개 학년으로 늘었다. 하지만 급식 시간은 2부로 나눠서 급식실만은 기존의 3분의 1 밀집도를 유지하기로 했다. 이 학교 영양교사 ㄴ씨는 “대부분의 학교 급식실 좌석수는 전교생 절반 수준이다. 여기서 한 칸 거리두기까지 하려면 한 번에 배식받을 수 있는 학생수는 또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 등교 확대에 맞춰 2부제 급식을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ㄴ씨는 “3개 학년이 동시에 등교하는 9월이 되면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학교의 경우 전면 등교를 한 뒤 급식실 밀집도 3분의 1을 유지하려면, 3부제를 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5교시에 점심을 먹는 학년이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설령 3부제를 한다고 해도 교육부 지침상 식중독 예방을 위해 조리 이후 최대 2시간까지만 배식이 가능해 학생들의 식사 시간을 40분씩 나눠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이 시간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이런 실정이다 보니 학교 현장에선 1개 학년은 교실 배식을 하고 2개 학년만 급식실에서 시차 배식을 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하지만 이 역시 한계가 있다. ㄴ씨는 “과밀학급의 경우 교실에서 마스크를 벗고 식사를 하면 급식실보다 더 안전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 음식을 실어나를 기물이 준비되지 않은 학교는 추가 구입의 부담도 있다”며 “전면등교 이후 2~3주 동안은 학생들에게 간편식을 제공하면서 일선 학교들이 새로운 급식 제공 방식을 고민하는 시간을 주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2시간 이내 배식’ 지침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일선 학교에서 시간을 늘려달라는 요청이 있었다. 이 부분까지 포함해서 2학기 급식실 방역 관련 추가 지침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전교생이 등교하는 만큼 급식실 밀집도 기준을 완화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수도권 중학교 등교 확대와 직업계고 전면등교를 계기로 교육당국이 학교 방역 안전망을 보다 촘촘히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서울교사노동조합은 이날 논평을 내고 “등교 확대로 인한 감염 예방을 위해 학교 방역 안전망을 보다 촘촘하게 구축해야 한다. 특히 급식 방역인력 지원, 배식인력 확충 등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조속히 실행에 옮겨달라”고 요구했다.
이유진 김지은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