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면허증을 스마트폰에 넣고 쓸 수 있게 됐다.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은 27일 현행 플라스틱 운전면허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지닌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이날부터 시범발급한다고 밝혔다.
이날부터 6개월 시범기간을 거쳐 오는 7월부터는 전국에서 발급되는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본인 명의의 단말기 1개에만 발급받을 수 있다. 시범발급 기관으로는 서울 서부운전면허시험장, 대전 운전면허시험장 등 시험장 2곳과 서울 남대문·마포·서대문·서부·중부·용산·은평·종로경찰서와 대전 중부·동부·서부·대덕·둔산·유성경찰서 등 14개 경찰서가 있다. 발급을 원하는 사람은 거주지와 무관하게 해당 기관에 방문해 발급받을 수 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발급 받으려는 운전면허 소지자는 운전면허시험장이나 경찰서 민원실을 방문해 대면 신원 확인을 거친 뒤 앱 마켓에서 ‘모바일 신분증’ 앱을 내려받아 설치해야 한다. 운전면허시험장을 방문해 신청서를 내고 본인확인을 받은 뒤 창구에 설치된 큐아르(QR)코드를 모바일 신분증 앱으로 촬영해 발급받을 수 있다.
시험장 등에 가지 않고 IC(집적회로)칩이 내장된 IC운전면허증으로 운전면허증을 교체한 뒤, 이를 스마트폰 뒷면에 접촉하고 본인인증을 거치는 방법도 있다.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누리집(safedriving.or.kr)에서 신청할 수 있는 IC운전면허증 발급에는 8천원의 비용이 들지만, 스마트폰을 바꾸거나 분실하더라도 시험장을 다시 방문하지 않아도 된다.
편의점 GS25에서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QR코드로 인식해 성인 확인을 하고 있다. GS리테일 제공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확인하는 사람이 원하는 정보만 제공할 수도 있어서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우려도 적다. 예를 들어 차량 렌트 시에는 운전자격 정보만을, 담배나 주류를 구매할 때엔 성인 여부만을 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확인할 때는 육안으로 보거나, 별도의 검증 앱을 내려받아 모바일면허증에 큐아르(QR)코드를 비추면 된다. 직접 눈으로 체크할 때에는 신분증 위에서 움직이는 태극무늬나 실시간 변하는 시각 표시를 중점적으로 확인해 위조 여부를 살펴봐야 한다.
행정안전부는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시작으로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국가유공자증, 장애인등록증, 청소년증, 외국인등록증 등으로 모바일 신분증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