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전 11시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대통령직 인수위 사무실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서혜미 기자
이달 들어(1∼22일) 하루 평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약 30만명에 달하면서 “현장은 아수라장과 아비규환”이라는 의료진의 절규가 터져 나오고 있다. 입원환자가 늘고 의료진의 감염이 이어지며 의료 체계가 사실상 붕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는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사무실이 차려진 금융감독원 연수원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료체계 붕괴를 막기 위한 비상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감염병대응체계 구축과 공공의료·보건의료인력 확충 등의 내용이 담긴 지난해 9·2 노정합의를 이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21∼22일 의료기관에서 확진 판정을 받아 격리 중인 의료 기관 직원이 전체 직원의 5∼6%가량으로 파악하고 있다. 누적 격리자는 전체 직원의 20∼30%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건의료노조는 “직원 400여명이 확진돼 전체 직원의 40%가 감염된 병원도 있다”고 밝혔다. 한 상급 종합병원의 경우 하루 평균 22%가량 수술을 취소하거나 축소하고 있거나, 병실 운영을 60∼70% 수준으로 축소한 병원도 있었다. 이철종 원주연세의료원지부 정책국장은 “한 병동에서는 전체 직원 31명 가운데 14명이 확진되고, 또 어떤 병동에서는 환자 보호자를 포함해 17명이 집단 감염된 경우도 있었다. 매일 20∼30명의 의료진이 새롭게 확진 판정을 받고 있으며 일주일 누적 확진자가 170명에 이른 적도 있었다”고 말했다.
현장의 보건의료노동자들은 정부의 ‘병상 가동률’과 실제 환자를 치료하는 현장은 다르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연일 중증환자와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60%대라고 설명한다. 병상 숫자만 보면 여유가 있을지 몰라도, 실제 병상을 운용할 인력은 이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정부 발표에는 허수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감염병 전담병원인 부산의료원은 현재 300여 병상에 하루 평균 코로나19 확진 환자 170~200여명이 입원한다. 그러나 의료진 확진이 많다 보니 과부하에 걸린 상태다. 방사선사인 정지환 부산의료원 지부장은 “전체 코로나병동 입원환자 가운데 60∼70% 이상이 정신·치매·요양·욕창·와상 환자와 산소·투석을 필요로 하는 중증도가 매우 높은 환자”라며 “돌봐야 할 중증환자는 많지만 인력은 부족하다 보니 이제는 식사를 할 수 없어 근무시간 내 식사 신청조차 하지 않는 간호사들이 태반”이라고 말했다.
보건의료노동자들은 인력 확충 대신 감염된 의료진의 격리 기간을 줄인 정부지침을 비판했다. 임백란 충남대병원지부장은 “백신 휴가도 우리에게는 꿈이었다. 누구도 알아주지 않고 백신 접종을 해내며 버텨왔는데, 방역체계 붕괴를 막기 위해 우리는 5일을 격리하라고 한다”고 말했다. 현재 일반인의 격리 기간은 7일인데 지난달 방역당국은 업무연속성계획(BCP) 지침을 개정해 의료진의 격리 기간을 3∼5일로 줄였다. 간호사인 배나영 강동경희대병원 지부장은 “의료진이 부족하니까 확진돼도 3일만 격리하고 나와서 환자를 보라는데, 간호사는 기계가 아니라 똑같은 사람”이라고 말했다.
서혜미 기자
h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