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14일 서울시교육청에서 열린 ‘서울교육 디지털 전환 사업’ 기자회견에서 오는 6월 치러지는 교육감 선거에 출마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연합뉴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오는 6월1일 치러지는 교육감 선거에 출마해 3선에 도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윤석열 정부 첫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유지의 뜻을 밝힌데 대해선 “교육의 큰 흐름을 역전시키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조 교육감은 14일 서울시교육청에서 열린 ‘서울교육 디지털 전환 사업’ 기자회견 중 출마 의사를 묻는 질문에 “새 정부에서 기존 자사고 정책을 역전하려고 하는 언급까지 한 상황에서 기존 교육 혁신의 길을 지키는 과제가 저한테 남아있다고 생각한다. 저에게는 다른 경로가 없는 것 같다”며 출마의 뜻을 밝혔다. 조 교육감은 이르면 4월 말께 출마를 공식 선언한다. 현직 교육감이 예비 후보자로 등록하면 이후 직무활동이 정지되며 부교육감이 권한을 대행하게 된다.
김인철 교육부장관 후보자가 자사고 유지의 뜻을 밝힌데 대해선 명확하게 반대의사를 표했다. 조 교육감은 “아직은 김 후보자의 개인 견해로 새 정부의 교육정책으로 확정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자사고 외고의 일반고 전환은 국민적 공감대가 큰 주제이고 기존의 교육 큰 흐름을 역전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진지한 검토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대입에서 정시모집 비중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김 후보자의 견해에 대해선 “정시 확대 40% 이상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며 “정시를 확대해 수능 중심으로 가는 건 초중등 교육을 더 왜곡시키는 경로다. 절대평가, 자격고사 형태로 가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서울 주요 대학 16곳의 정시 비율은 40% 가량이며, 자사고는 오는 2025년 일반고로 일괄 전환이 예정돼 있다.
한편, 진보 진영에서 조 교육감이 유력 후보로 꼽히는 가운데 중도·보수 진영은 단일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도권 교육감후보 단일화 추진협의회는 지난달 30일 조전혁 서울시 혁신공정교육위원장을 단일 후보로 선출했지만, 이 과정에서 조영달 서울대 사범대 교수와 박선영 21세기교육포럼 대표가 이탈해 별도 출마의 뜻을 밝혔다. 이주호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역시 출마를 선언한 상태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