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 선거운동 개시일인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동숭동 경제정의실천시민운동연합 사무실에서 이번 지방 선거에 출마한 서울 기초단체장 후보자들 53명의 재산 내역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하는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오는 6∙1 지방선거에 출마한 서울 기초단체장 후보자 1명당 평균 28억원의 부동산을 가지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후보자가 평균 43억원, 더불어민주당 후보자가 평균 16억원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6·1 지방선거 서울 기초단체장 후보자 재산분석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어 “경실련이 6·1 지방선거에 출마한 서울 기초단체장 후보 53명의 재산내역을 분석한 결과 1인당 평균 부동산 재산은 평균 28억3천만원으로, 50억원 이상이 5명, 30억~50억원 미만 4명, 10억~30억원 미만 22명으로 10억원 이상 부동산 재산을 신고한 후보가 31명(58%)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43억3천만원, 더불어민주당 15억9천만원, 정의당 1천만원 등으로 크게 차이났다”며 “지난해 12월 기준 통계청이 발표한 가구 평균 부동산 재산이 3억7천만원인 것과 비교하면 후보자들 재산이 (일반 국민의)8배 수준이다. 부동산 재산 신고가 대부분 시세보다 낮은 공시가격 및 공시지가로 이루어지는 점을 감안하면 국민 평균과의 격차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경실련은 지난 14일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된 민주당∙국민의힘 각 25명, 정의당 1명, 무소속 2명 등 53명 후보자들의 재산공개 자료를 참고해 재산 현황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를 보면 서울 강남구에 출마한 후보자들이 재산 상위 1∙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재산이 가장 많은 후보는 강남구에 출마한 국민의힘 조성명 후보로 512억9천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경실련은 “조 후보는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에 대지, 아파트, 상가 등 5건, 고양시에 오피스텔 및 상가 67채, 인천에 상가 5채, 농지 등 토지 5만4천여평(17만8512㎡) 등의 부동산을 신고했다”고 밝혔다. 부동산 재산 2위는 강남구 민주당 정순균 후보로 152억원을 신고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 후보 역시 강남 3구에 아파트와 빌딩 각각 1채, 토지 6만115㎡(2만평)의 부동산을 신고했다. 이중 빌딩 1채는 매도되어 소유권 이전 등기가 완료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지를 보유한 후보자도 8명으로 전체 조사 대상 중 15%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강남구에 출마한 국민의힘 조성명 후보는 8만6023㎡(2만6022평), 국민의힘 서대문구 이성헌 후보는 7451㎡(2254평), 성북구 민주당 이승로 후보는 5223㎡(1580평), 종로구 민주당 유찬종 후보는 4955㎡(1499평)의 농지를 보유한 것으로 신고했다.
서울시 기초단체장 후보자 부동산 재산 신고액 상위 5위. 경실련 제공
경실련은 “여전히 부동산 부자 및 다주택자, 농지 보유 등 부동산 투기 의혹이 짙은 후보들이 상당수 공천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독립생계 등의 이유로 가족재산을 고지거부한 후보도 18명(34%)이나 됐다. 고지거부는 재산 은닉 여부에 대한 공개검증을 차단할 뿐 아니라 성실하게 가족재산을 투명하게 공개한 다른 후보들과의 형평성 문제, 재산축소 공개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국민들은 이러한 부적합 후보가 무주택 서민을 위한 서민 주거안정책을 제대로 수행할 것이라고 믿지 않으며, 이번 선거에서 투표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지영 기자
jy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