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한국전쟁 발발 직후 전남 영암군 학산면에서 발생한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발생 장소와 시기. 진실화해위원회 제공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25일 한국전쟁 당시 영암 민간인 희생 사건 진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 사건은 1950년 8~11월 전남 영암군 학산면에서 민간인 133명이 이 지역 좌익과 빨치산에 의해 희생된 사건이다. 희생자들은 경찰 가족, 우익 인사와 그 가족, 기독교인이라는 이유 등으로 희생됐다. 진실화해위는 “대다수 사건은 인민군 퇴각 이후 지역 치안이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지역 실정을 잘 아는 좌익 세력이 활동하던 1950년 10월과 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고 했다.
이번 진실규명을 통해 희생자 중 노인∙아동·여성이 많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진실화해위는 “조사 결과 일가족 희생이 많았으며 10살 이하가 전체 희생자의 24%를 차지했다. 50대, 60대 희생자도 적지 았았으며 여성 피해자는 41%에 달했다. 희생자 중 60%가량은 농업 또는 집안일에 종사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진실화해위는 국가가 희생자와 유족들에게 사과하고 명예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권고했다. 진실화해위는 “비록 전쟁 중이라도 국가가 국민의 생명·자유를 보호해야 할 의무를 다하지 못해 국민이 희생되고 유족에게 피해를 줬다. 희생자와 유족에게 공식 사과해야 한다”고 밝혔다. 진실화해위는 △추모제·위령비 건립 지원 △가족관계등록부 등 공식기록 또는 역사 기술 적극 수정 △평화·인권 관련 교과과정 반영 등도 필요하다고 봤다.
진실화해위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희생자·유족의 명예를 회복하고 지역 사회 화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후속 위령사업을 지원하고 적극적으로 역사에 기록해 잘못된 부분은 바로잡아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전쟁의 참상과 인권·평화의 소중함을 알릴 수 있도록 사건의 진실을 미래 세대에게 제대로 알리는 일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지영 기자
jy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