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시민 10명 중 6명은 지방공기업의 여성 관리자 비율을 지금보다 ‘더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6일 공개한 ‘공공부문 여성 대표성 제고(2018∼2022년) 추진 현황 및 항후 목표율 설정’ 보고서를 보면, 공공부문 가운데서도 ‘여성 확대가 필요하다’(62.5%)는 응답률이 가장 높은 곳으로 지방공기업이 꼽혔다. 현재 지방 공기업의 여성 관리자 비율은 11.8%로, 군인(8.2%), 국가직 고위공무원단(10%)에 이어 12개 공공 분야 가운데 뒤에서 세번째다.
‘공공 부문 여성 대표성 제고’란 공무원(국가·지방직),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교원, 군인, 경찰, 정부위원회 등 12개 공공 분야에서 여성 관리자급 비율을 확대하는 것으로, 여성가족부는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와 유리천장 해소를 목표로 2013년부터 관계부처와 협의해 5개년 단위로 분야별 목표치를 수립하고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목표치 수립 등을 위해 지난해 10월14∼24일 전국 18∼69살 여성과 남성 1821명을 대상으로 ‘공공부문의 여성 대표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했는데, 대부분의 공공부문에서 여성 관리자 비율을 지금보다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시민이 현재 수준이 적정하다고 답한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설문 조사 결과, 12개 공공 분야 가운데 여성 관리자급 비율로 ‘현재 수준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나온 것은 ‘정부위원회’와 ‘교장·교감’ 두 분야뿐이었다. 두 분야의 경우, 여성 관리자 비율(2021년 기준)이 각각 42.4%, 45.8%로 다른 공공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12개 분야 가운데 여성 관리자 비율이 30%를 넘는 곳은 이 두 분야 뿐이다.
눈에 띄는 점은 ‘일반 경찰’(14.2%)과 ‘해양 경찰’(14.5%) 분야는 여성 간부 비율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남성 비율 확대가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이 각각 24.1%, 25.6%로 다른 분야에 비해 약 2배 가량 높았다는 점이다. ‘경찰=남성’이라는 인식이 여전히 지배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연구진은 이어 과학기술과 언론, 체육, 소방 분야에서 여성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조치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5점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5점 매우 그렇다)로 조사했다. 그 결과, 여성 비율 확대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은 분야는 과학기술 분야(3.29점)였고, 언론 분야 고위직(3.27점)이 그 뒤를 이었다.
연구진은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제3차(2023∼2027년) 공공 부문 여성 대표성 제고 계획에 과학기술 분야를 추가하고, 여기에 특정직(외무, 경찰, 소방, 검사, 교육 등) 공무원 중 여성 비율이 10%(2021년)로 가장 낮은 소방 분야에도 연도별 여성 비율 목표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여가부는 제3차 계획에서 목표치를 설정할 분야를 늘릴지에 대해 “관계부처와 계속 협의 중”이라고 답했다.
오세진 기자
5sj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