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보건의료노조와 한국노총 공공노련, 공공연맹, 금융노조가 모인 ‘양대노총 공공부문 노동조합 공동대책위원회’ 소속 조합원들이 12일 오전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결과 발표를 앞두고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함께 모인 ‘양대노총 공공부문 노동조합 공동대책위원회’가 공동행동에 나선다고 발표했다.
양대노총 공대위 조합원들은 12일 오전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인근에서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 전면개선’, ‘단체협약 개악 노동조합 탄압중단’, ‘공공기관운영법 전면개정! 기재부 해체!’ 등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기자회견에 나섰다. ‘양대노총 공공부문 노동조합 공동대책위원회’에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보건의료노조, 한국노총 공공노련·공공연맹·금융노조가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1년 윤석열 정부는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 발표를 시작으로 공공기관 민영화를 위한 자산매각, 인력 감축, 기능 축소를 시행해 왔다”며 지난 1년을 ‘사회 공공성 파괴의 1년’이라고 평가했다. 오는 16일 정부는 ‘2023년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결과 발표’할 예정이다. 공대위는 “정부가 이윤 중심의 공공기관 운영을 위한 평가 기준을 마련했고, 경영평가 결과를 토대로 공공기관들을 더욱 압박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민영화에 따른 각종 공공요금 인상, 국민안전 위험, 공공서비스 악화 등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과 노동자의 몫이다”며 “윤석열 정부의 역사적 퇴행을 더 이상 좌시할 수 없어 공동행동, 공동투쟁에 나선다”고 말했다.
기자회견문에서 △ 공공기관 민영화·구조조정 중단 △ 경영평가제도 전면 개정 △ 노동탄압 중단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오는 13일부터 19일까지 참여조직별로 대통령실 앞과 국회, 헌법재판소 등에서 공동행동을 열 예정이다. 20일에는 2500여명의 조합원들이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앞에서 양대노총 공공기관 노동자 결의대회를 열어 공공기관 민영화 저지와 공공부문 청년 일자리 확대, 직무성과급 임금체계 개편 저지 등을 외칠 예정이다.
기자회견 참석자들이 요구사항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있다. 김혜윤 기자
‘양대노총 공공부문 노동조합 공동대책위원회’ 소속 조합원들이 기자회견을 마치고 거리 선전전을 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양대노총 공공부문 노동조합 공동대책위원회’ 소속 조합원들이 공공기관 노동자들의 2023년 5대 요구를 밝히고 6월 공동행동 주요 요구와 공동행동 일정 등을 발표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