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함평 양민학살 사건’과 충북 ‘단양 곡계굴 사건’에 대한 현장 재조사가 이뤄진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과거사위)는 10일 오전 전남 함평군청에서 유족과 주민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함평 양민학살 사건의 현지조사 설명회를 열어 조사 방법과 절차 등을 소개했다.
함평 양민학살 사건은 1950년 12월6일~51년 1월4일 공비토벌에 나선 국군 11사단이 함평 일대에서 양민 500여명을 학살하고 집 1400여 채를 불태운 참사다.
과거사위는 또 11일부터 충북 단양군에서 발생한 ‘단양 곡계굴 사건’ 현지조사도 시작한다.
이번 조사는 유족대표 엄한원(71)씨 등이 진상 규명을 신청해 이뤄지게 됐는데, 유족들은 신청서에서 “1951년 1월20일 단양군 영춘민 느티마을 곡계굴에 피해 있던 주민 360여명이 미군 비행기 4대의 무차별 네이팜탄 폭격으로 희생됐다”고 주장했다.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이 보관하고 있는 ‘베트남전을 위한 한국전쟁의 교훈’이란 제목의 미중앙정보국 보고서에는 “1950년 12월말에서 1951년 1월말까지 충북, 강원, 경북 등 3곳에서 네이팜판을 사용해 민간인이 희생됐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광주 청주/안관옥 오윤주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