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현장]“돈독이 올랐다고?” 대추리 노인들‘피멍’

등록 2006-06-12 11:42

국회 여야 4당 인권위원장들이 지난달 11일 오후 경기도 평택 대추리 현장을 방문하자, 한 할머니가 이원영 열린우리당 인권위원장을 붙잡고 “수십년 동안 농사를 지어오던 들녘이 철조망으로 가로막혀 농사도 못 짓게 됐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평택/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국회 여야 4당 인권위원장들이 지난달 11일 오후 경기도 평택 대추리 현장을 방문하자, 한 할머니가 이원영 열린우리당 인권위원장을 붙잡고 “수십년 동안 농사를 지어오던 들녘이 철조망으로 가로막혀 농사도 못 짓게 됐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평택/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대추리 영세농들의 절규와 시름
“다른 동네 논에서 벼가 크는 것을 보면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어.

지난 8일 경기 평택시 대추리 노인정 앞에서 만난 농민 이수궐(70)씨는 한숨만 내쉬었다. 아침 저녁으로 논 일을 하던 그는 이제 할 일이 없어졌다. 2∼3중의 철조망과 거대한 수로, 군 초소 등에 그의 논이 갇혔기 때문이다.

자식과 같은 흙과 벼를 빼앗긴 대추리 농민들에게 ‘희망’은 있는 것일까. 이씨와 같은 또래 노인들은 벌건 대낮부터 오이를 안주 삼아 소주를 들이켰다. 이씨는 “아침이면 벌판이 군 훈련장 같다”고 말했다. 곤봉을 멘 병사들이 시위진압 훈련을 하고 아침마다 울리는 애국가와 나팔 소리에 주민들은 가슴을 쓸어내린다고 했다.

지난달 4일 군·경 병력이 투입된 뒤 이들에 둘러싸인 채 점차 고립된 ‘섬’이 되어버린 대추리의 노인들한테서 3년간의 긴 싸움 끝에 쌓인 피로감이 묻어났다. 이달말까지 집을 비우라는 퇴거장도 날아왔지만 ‘악’만 남은 노인들은 “와서 부숴보라고 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민들을 상대로 한 정부의 공세는 그동안 효과를 본 듯했다. “반대 주민 중 10억원 이상 보상을 받은 ‘백만장자’가 21명인데도 생존권 박탈이라는 것은 모순”이라는 공세와 “외부 불순단체에 주민들이 휘둘린다”는 이념 공세에, 대규모 공권력까지 동원됐다. 그러나 노인이 다수인 주민들은 밀려드는 거대한 공권력 앞에서 가슴에 ‘피멍’만 들었다.

정태화(71) 노인회장은 “내 땅을 지키겠다는 것인데, 시내에 가서 ‘대추리 늙은이들이 돈독이 들었다’는 말을 들을 때마다 울화통이 터진다”고 말했다. 주민 이정오(70)씨는 “정부는 70%에 이르는 외지인 땅을 수용해놓고 땅 수용이 잘 됐다고 자랑하는데, 진짜 농사짓는 사람들은 대부분 수용을 거부했다”며 “정부는 그런데도 극렬한 농민들 30여가구 정도가 반대하는 식으로 거짓말을 하고 이를 언론이 받아쓰는 것에 더 좌절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정부가 군·경을 투입하고 철조망을 설치해 주민들의 영농행위를 원천봉쇄한 뒤 한달여가 지난 초여름의 대추·도두리 들판엔 주민과 시위대들의 진입을 막으려 땅을 파는 굴삭기 소리만 가득하다. 평택/장철규 기자 chang21@hani.co.kr
정부가 군·경을 투입하고 철조망을 설치해 주민들의 영농행위를 원천봉쇄한 뒤 한달여가 지난 초여름의 대추·도두리 들판엔 주민과 시위대들의 진입을 막으려 땅을 파는 굴삭기 소리만 가득하다. 평택/장철규 기자 chang21@hani.co.kr

실제로 11일까지 토지수용을 거부한 가구수는 98가구. 대추리 162가구 중 66가구, 도두리 80가구 중 32가구가 ‘시퍼렇게’ 남아있다. 남은 농민들이 분노를 삭이는 와중에서도, 논밭이라도 있는 일부 농민들과 달리 거의 빈손으로 내쫓길 처지의 ‘영세농’들의 시름은 더욱 커 보인다.


시집 와 43년을 대추리에서 살아온 서삼파(66·여)씨는 논도 밭도 없이 달랑 하나 있는 집 한 채에 2500만원이라는 감정평가를 받았다. 서씨는 “경비원 일을 하는 남편이 그나마 70살이 넘어 다음달이면 그만둔다”며 “5천만원도 안되는 보상금을 받고 늙은이들이 어디 가 무엇을 할 수 있겠냐. 그냥 이곳에 있다가 집을 부수면 깔려 죽겠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대추리 지장물 조사를 나온 한국토지공사 직원들은 “서씨 같이 집 한 채만 있고 논이나 밭이 없는 경우가 대추리에 17가구에 이른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5월 초 국방부 발표를 보면, 대추·도두리 반대 주민 105가구 중 1억원 미만의 보상금을 받는 사람은 18가구, 2억원 미만이 22가구, 3억원 미만 보상금을 받는 주민은 9가구 등으로, 절반에 가까운 49가구의 보상금이 3억원 미만이다.

논 1천평에 집 한 채를 지닌 최진례(64·여)씨는 “척추를 다친 아들 대신 손자·손녀 2명을 키우고 미혼인 딸 2명을 데리고 사는데 어린 것들 앞날을 생각하면 가슴이 미어진다”고 말했다. “농민을 위한다기에 지난 선거에서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내가 찍었어. 그런데 이제와 이게 뭐야”라는 그의 말에선 깊은 배신감이 묻어나왔다. 평택/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