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위 공직자 재산공개 안팎
신고액 증가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 거래’
국무위원 3분의2 증가…김근태 장관등 감소 행정부 1급 이상 고위공직자의 75.2%가 지난해 재산을 불린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위원장 이용훈)는 24일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한 1급 이상 재산공개 공직자 594명의 재산변동사항을 25일자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12월31일 기준으로 재산이 늘어난 공직자는 447명(1억원 이상 증가 87명)으로 75.2%였다. 재산이 줄어든 공직자는 147명(1억원 이상 감소 28명)으로 24.8%로 집계됐다. ◇재산불리기 수단은 부동산=재산 증가 상위 10명 중 7명이 토지·아파트 매도금과 공시지가·기준시가의 차익에 따라 재산이 늘어났다고 신고했다. 재산증가 2위인 김세호 건설교통부 차관은 서울 송파구에 있는 공시지가 6억3천만원의 땅이 18억2천만원에 수용됨에 따라 11억9천만원을 불렸다. 3위인 한준호 한국전력공사 사장도 본인 소유의 토지수용 보상금(11억4888만원)을 받았다. 공직자 재산의 연도별 특징을 보면 2000년 ‘주식투자’, 2001년 ‘저축’, 2002년 ‘부동산’, 2003년에는 ‘부동산 거래와 저축’ 등이 주된 증감요인이었다. ◇국무위원 15명중 10명 재산증가=이헌재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토지매도 등으로 4억7268만원이 늘었다고 신고해, 장관 중에서 증가 1위에 올랐다.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은 참여연대의 삼성전자 임원상대 소송과 관련한 손해배상금 가지급금 2억원을 포함해 3억9947만원이 줄었다고 신고했다. 하지만 그의 재산총액은 125억6846만원을 기록해 국무위원 중 유일하게 100억원이 넘었다.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1933만원)과 정동영 통일부 장관(918만원), 강동석 건설교통부 장관(577만원) 등 3명은 생활비 사용으로 재산이 감소했다. ◇고지거부 여전=올해는 18명의 공직자들이 직계 존·비속의 재산공개 고지를 거부했다. 이들은 부양을 받지 않는 직계 존비속은 재산공개를 거부할 수 있다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재산공개를 거부했다. 올해 신규 고지거부자는 정태인 대통령비서실 동북아시대위원회 비서관, 김완기 소청심사위원장(현 대통령 인사수석비서관), 윤광웅 국방장관, 이훈규 대검 형사부장 등이다. 행정부 공직자 재산공개에 관한 상세내용은 전자관보(gwanbo.kore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