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1학년 때 납북된 것으로 알려진 김영남(왼쪽)씨가 28일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이산가족 특별상봉 행사에서 남쪽의 어머니 최계월씨를 28년 만에 만나 끌어안고 있다.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김영남씨 모자 28년만에 눈물의 상봉
“엄마! 나 맞아, 막내 맞아! 막내아들이 이제 효도 좀 할게!”
고교 1학년 때인 1978년 8월 군산 선유도 해수욕장에서 납북된 것으로 알려진 김영남(45)씨와 남쪽의 어머니 최계월(82)씨가 28일 오후 금강산호텔에서 28년 만에 만났다. 휠체어에 앉은 팔순의 어머니는 중년의 모습이 완연한 막내아들의 목을 끌어안고 아무 얘기도 하지 못한 채 한참 울기만 했다.
휠체어 탄 노모에 “오래사세요, 효도 좀 할게”
김영남씨는 이날 상봉행사에 일본인 납치 피해자 요코타 메구미와의 사이에서 낳은 것으로 알려진 딸 혜경(19·본명 은경)양과, 재혼한 부인 박춘화(31)씨, 박씨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철봉(7)군을 함께 데리고 나왔다. 남쪽에서도 김씨의 누나 김영자(48)씨가 동반가족으로 참여했다.
이날 금강산호텔에서 시작된 제14차 이산가족 상봉 4회차 행사에 나온 김씨는 오후 2시40분부터 호텔 2층에 별도로 마련된 상봉장에서 어머니를 기다렸다. 3시께 딸과 함께 상봉장에 들어선 최씨가 “어디 보자!”라며 아들의 얼굴을 확인하려 하자, 아들 김씨는 “엄마! 나 맞아, 막내 맞아!”라고 말했다. 김씨는 “(어머니) 건강하신 모습을 보니 좋구만, 기쁘구만”이라며 애써 밝은 표정을 지었고, 옆에서 지켜보던 누나 영자씨는 “어릴 때와 너무 똑같아, 머리카락도, 목소리도…” 하며 눈물을 흘렸다. 김씨는 “이제 죽어도 한이 없다”는 어머니의 말에 “오래오래 사셔야지, 막내아들이 이제 효도 좀 할게!”라며 위로하기도 했다.
탁자로 자리를 옮긴 김씨는 자리에 앉은 어머니 최씨에게 큰절을 올렸다. “막내아들 걱정 많이 했을텐데, 불효막심한 아들이 절 드리겠다”는 아들의 말에 어머니는 또다시 울음을 터뜨렸다. 김씨는 부인 박씨와 철봉군, 혜경양을 차례대로 남쪽 가족들에게 소개했다.
2시간 동안의 상봉을 마치고 나온 최계월씨는 취재진이 아들과 며느리를 만난 소감을 묻자 “겁나게 좋아요”라고 대답했다. 김씨는 이날 남쪽 가족들과 어린 시절 이야기를 주로 나눴으며, 납북 여부와 경위 등 민감한 문제는 서로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영자씨는 “동생이 나름대로 열심히 공부해 편안하게 살고 있다, 평양에서 큰 평수 아파트에서 잘 살고 있다고 했다”고 전했다. 또 혜경양은 현재 김일성종합대학 컴퓨터학과에 다닌다고 말한 것으로 영자씨는 소개했다. 이어 김영남-최계월씨 모자는 저녁 7시부터 2시간 동안 금강산호텔에서 진행된 만찬상봉에서 저녁식사를 함께 하며 헤어진 28년의 한을 달랬다. 오늘 기자회견 ‘메구미 의혹’ 해명 등 주목 한편, 김영남씨는 29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납북 여부 및 경위 △요코타 메구미 사망 경위 △일본 쪽에 보낸 요코타 메구미 유골의 진위 등 각종 의혹에 대한 소견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4회차 상봉행사에는 김영남씨 가족을 포함해 남쪽 방문단 98명과 동반가족 51명이 북한에 있는 이산가족 239명을 만났다. 이산가족 상봉단은 29일 개별 상봉 및 공동 중식, 삼일포 참관 행사를 한 뒤 30일 오전 작별상봉을 마지막으로 남쪽으로 돌아온다. 금강산/공동취재단,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2시간 동안의 상봉을 마치고 나온 최계월씨는 취재진이 아들과 며느리를 만난 소감을 묻자 “겁나게 좋아요”라고 대답했다. 김씨는 이날 남쪽 가족들과 어린 시절 이야기를 주로 나눴으며, 납북 여부와 경위 등 민감한 문제는 서로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영자씨는 “동생이 나름대로 열심히 공부해 편안하게 살고 있다, 평양에서 큰 평수 아파트에서 잘 살고 있다고 했다”고 전했다. 또 혜경양은 현재 김일성종합대학 컴퓨터학과에 다닌다고 말한 것으로 영자씨는 소개했다. 이어 김영남-최계월씨 모자는 저녁 7시부터 2시간 동안 금강산호텔에서 진행된 만찬상봉에서 저녁식사를 함께 하며 헤어진 28년의 한을 달랬다. 오늘 기자회견 ‘메구미 의혹’ 해명 등 주목 한편, 김영남씨는 29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납북 여부 및 경위 △요코타 메구미 사망 경위 △일본 쪽에 보낸 요코타 메구미 유골의 진위 등 각종 의혹에 대한 소견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4회차 상봉행사에는 김영남씨 가족을 포함해 남쪽 방문단 98명과 동반가족 51명이 북한에 있는 이산가족 239명을 만났다. 이산가족 상봉단은 29일 개별 상봉 및 공동 중식, 삼일포 참관 행사를 한 뒤 30일 오전 작별상봉을 마지막으로 남쪽으로 돌아온다. 금강산/공동취재단,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