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일제 강제동원 피해접수 한달 신고 4만건…부자 함께 신청도

등록 2005-03-01 22:07수정 2005-03-01 22:07

전북·전남순 많아…노무자 동원 최고
조부 유해찾는 손자등 사연 가지가지

일제 강제동원 피해신고가 접수 한달만에 4만건을 넘어섰다. 1일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진상 규명위원회(위원장 전기호)는 2월 한달 동안 전국에서 모두 4만2458건의 신고서를 접수했다고 밝혔다. 신고 인원이 늘어남에 따라 안타까운 사연과 일제의 거짓 선전을 폭로하는 사료들도 세상에 속속 드러나고 있다.

전북 노무자 동원 피해 가장 많아=지역별로는 전북이 5793건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 4639건, 경북 4471건, 충남 4173건, 경기 4118건, 경남 3633건 등의 차례였다. 전북에서 일제징용 피해자가 많았던 것은 지난 1930~40년대 당시 전북이 곡창지대로 인구가 많았고, 이에 따라 군산항을 통한 일제의 징용과 쌀 수탈이 심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피해를 동원 유형별로 보면, 노무자가 2만7310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군인 9018건, 군속 6038건, 위안부 92건 등의 차례였다. 지역별로는 노무자는 전북에서 4044건이 접수돼 가장 많았고, 군인은 경기에서 1069건, 군속은 전북에서 875건으로 가장 많이 접수됐다.

야스쿠니 신사의 한국인 혼령 합사 경위와 관련해 명부조사를 포함한 진상조사 요청도 3건이 접수됐다. 지난달 21일 현장조사도 벌인 규명위는 신고 내용을 토대로 이달부터는 희생자 및 유족 결정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자료 속속 드러나=경남 창원에 사는 이경규(43)씨는 할아버지(1924년생)가 1945년 강제징집을 당해 필리핀 루손섬에서 전사한 뒤 그 유해가 일본 신사에 안치된 사실을 지난 2000년 뒤늦게 알게 됐다. 조부의 유해가 안치된 장소를 알기 위해 일본 정부에 문의한 결과 47~48년 두 차례에 걸쳐 조부의 미지급 급여금 1000여엔이 일본 법무국에 공탁된 사실도 알아냈다.

이씨는 “현재까지 조부의 유해가 일본 어느 지역 신사에 있는 지를 알지 못하고 있으며 미지급 급여금도 찾지 못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가 나서기만 하면 유해를 쉽게 찾을 수 있을 텐데 협조가 되지 않아 몇 년째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고 말했다.

경북 구미시 진평동에 사는 박경호(83)씨는 일제강점하 피해자 신고를 하면서 자신을 비롯해 41명의 인적사항 등이 적힌 명부와, 강제징용사실을 왜곡하고 미화한 내용의 전단 등을 공개했다. 이 명부 맨 위쪽에는 일련번호가 적혀 있고 아래쪽으로 주소와 창씨개명한 이름, 직업 등이 적혀 있다. 전단에는 “전세가 불리한 가운데 가장 중요한 조선소 요원으로 선발된 것은 영광”이라는 등 징용을 미화하는 글이 적혀 있었다.


박씨는 1944년 10월 17일 경북 칠곡군에서 징발된 41명과 함께 일본 효고현 가와사키 조선소에서 인간 이하의 대접을 받으면서 강제노동을 해야 했다. 박씨는 “강제 징용된 41명 중 2명은 미군의 공습으로 사망했고, 나머지 20여명도 일본에서 뿔뿔이 흩어져 해방 뒤 절반 정도만 살아서 돌아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강제동원 신고접수를 보면, 아버지와 아들이 동시에 신청한 경우도 있었고 군함이 폭발해 400여명이 숨졌는데 유일하게 살아난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광주 대구 울산/정대하 박영률 김광수,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징병자 592명 명부 증거물로

신상은 물론 상하이 일본군 이동경로등 기록

▲ 사진 연합
해방 뒤 중국 상하이에서 부산으로 귀국한 일제 징용대상자 592명의 명단이 적힌 명부가 발견됐다. 이 명부에는 징용대상자의 이름과 주소는 물론 부모와 처 등 가족의 주소까지 상세히 기록돼 있어 일제 강제동원 피해 진상을 밝히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 울주군은 1일 범서읍 이수은(82)씨가 1946년 중국 상하이에서 부산항으로 미국 상선을 타고 귀국한 한국인 징병 대상자 592명의 명부 사본인 ‘중지부대 한국 장정 귀국인 승선자명부’를 일제강제동원 피해 증거물로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명부는 경기도 177명, 평안도 176명, 경남 163명, 충청도 45명, 전라도 15명, 함경도14명, 경북 1명, 황해도 1명 등 592명을 5개 중대로 나눠 적어 놓았다. 또 이들의 이동경로와 날짜를 꼼꼼하게 기록해 놓았다.

이들은 중국 상하이 인근에 주둔중이던 일본군 육군 70사단 121대대에서 근무하다 해방 소식을 들었지만 중국 국민당 장제스 군대의 요청으로 중국 공산당 팔로군과 전투를 벌여 9개월 뒤인 46년 5월 17일 상하이에서 미국 쪽이 지원해준 상선을 타고 부산항으로 귀국했다.

당시 대대장은 경남 부산부 영주정 272번지에 살았던 박현섭으로 기록돼 있다.

이 명부를 보관했던 이씨는 44년 12월 결혼한지 10개월여만에 일제 징병방침에 따라 소집영장을 받은 뒤 울산에서 부산, 함흥을 거쳐 중국 상하이에 도착했다. 이씨는 “일본의 항복으로 무장해제를 당한 뒤 혼란을 막기 위해 한국군들끼리 부대를 재편성했는데 운좋게 행정업무(인사)를 맡은 덕분에 명부를 보관하게 됐다”고 말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