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후 청명한 날씨 속에 전북 군산지방해양수산청 말도항로표지관리소 등대에서 22㎞ 떨어진 직도(오른쪽 섬, 화살표)와 9㎞ 거리의 흑도가 또렷이 보이고 있다. 직도 반지름 18㎞까지 어로가 금지된데다 최근 직도 사격장이 사회문제화되면서 해경 경비정이 온종일 순찰해 직도 접근이 더욱 어려워졌다. 군산 말도/박임근 기자
‘직도 사격장’ 이웃한 말도 주민들 원성
“요새 어떠냐고? 갈수록 단속이 강화되니 먹고살기는 더 힘들어졌제.”
19일 오후 1시께 전북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 한 어민의 집에서 주민들은 날로 어려워진다는 ‘생업’에 대해 이런저런 얘기들을 하고 있었다. 미국 공군을 위해 직도 사격장에 ‘자동채점장치’(WISS)를 설치하는 문제를 꺼내자 주민들의 말문은 더욱 크게 터졌다. 서해상에 자리잡은 말도는 직도에서 동쪽으로 22㎞ 떨어진 0.36㎢의 작은 섬(지도 참조)으로, 13가구 40명이 살고 있다. 주민들은 크고 작은 배 7척으로 고기잡이를 하며 살아가고 있다.
고영곤(47) 이장은 “직도의 행정구역은 말도리 산145번지”라며 “이는 말도의 땅이란 뜻이 아니고 뭐냐”며 말문을 열었다. 그는 “35년 동안 직도 해상 근처에서 조업을 못했으니, 그동안 피해와 앞으로 생계 문제 등을 보상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고 이장 말로는, 직도 근처는 어족량이 풍부하지만, 직도 반지름 18㎞ 안으로는 접근이 제한돼 주민들은 감시를 피해 사실상 불법 어로를 해온 듯했다.
국군은 1971년부터 직도를 사격장으로 이용해 왔다. 마침 기자가 찾아간 날은 날씨가 좋아 말도 방파제에서 서쪽 방향을 바라보니 직도와 흑도(말도에서 9㎞쯤 떨어짐)가 손에 잡힐 듯했다. 흑도는 직도와 말도 중간에 있는 무인도다. 남쪽으로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문제로 몸살을 앓았던 부안의 위도가 보였다.
매향리 사격장 직도 이전에
자동채점장치 설치한다면서
주민 동의 안중에 없어
“조업 묶인 35년 보상하라” 고 이장은 “흑도는 검게 보이지만 직도는 하얗게 보인다”며 “그동안 폭격을 많이 해 풀이 날 틈이 없기 때문”이라는 설명을 들려줬다. 근처에서 그물을 고치던 직도 토박이 김득환(54)씨는 “엄청난 폭격으로 바위가 무너져 내려 해변마저 자갈 백사장으로 변했다”며 “(불법 어로이지만) 이 때문에 과거보다 섬에 배를 대기가 더 편해졌다”고 직도의 ‘실상’을 전했다. 이날 말도 앞바다에는 해양경찰 경비정 1척이 온종일 떠 있었다. 직도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통제가 더 심해졌다. 그러나 주민들은 지금까지 매향리 사격장의 직도 이전에 대한 주민 동의, 국방부의 사전 설명회 등이 전혀 없었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직도에서는 사격 훈련이 계속되고 있다. 문동신 군산시장 등 25명이 실태조사차 직도를 둘러본 18일에도 미군의 폭격이 있었다. 그러나 주민들에게는 훈련 일정이 통보되지 않고 있다. 주민들은 5~6년 전까지만 해도 엄청난 소음에 시달렸다. 말도 상공 위로 폭격기가 비행했기 때문이다. 주민들의 계속된 민원으로 이제는 우회비행을 해서 다소 나아졌지만, 지금도 폭격을 하면 진동으로 전구가 천장에서 떨어지기도 한다고 주민들은 전했다. 김태복(70)씨는 “정부가 안보를 내세워 (미군의 직도 사격장 사용을) 몰아붙이면 힘없는 우리들이 어쩌겠느냐”며 “그러나 소음 피해와 어로 규제에 따른 피해를 보상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임성식 군산수협 조합장은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분단된 우리 민족의 안보상황은 이해하지만, 35년간 피해를 본 지역을 방치할 수 있느냐”며 정부의 대책을 촉구했다. 한편 군산시는 21일 국방부가 자동채점장치 설치를 위한 전단계로 요청한 직도의 용도 전용 허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군산 말도/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자동채점장치 설치한다면서
주민 동의 안중에 없어
“조업 묶인 35년 보상하라” 고 이장은 “흑도는 검게 보이지만 직도는 하얗게 보인다”며 “그동안 폭격을 많이 해 풀이 날 틈이 없기 때문”이라는 설명을 들려줬다. 근처에서 그물을 고치던 직도 토박이 김득환(54)씨는 “엄청난 폭격으로 바위가 무너져 내려 해변마저 자갈 백사장으로 변했다”며 “(불법 어로이지만) 이 때문에 과거보다 섬에 배를 대기가 더 편해졌다”고 직도의 ‘실상’을 전했다. 이날 말도 앞바다에는 해양경찰 경비정 1척이 온종일 떠 있었다. 직도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통제가 더 심해졌다. 그러나 주민들은 지금까지 매향리 사격장의 직도 이전에 대한 주민 동의, 국방부의 사전 설명회 등이 전혀 없었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직도에서는 사격 훈련이 계속되고 있다. 문동신 군산시장 등 25명이 실태조사차 직도를 둘러본 18일에도 미군의 폭격이 있었다. 그러나 주민들에게는 훈련 일정이 통보되지 않고 있다. 주민들은 5~6년 전까지만 해도 엄청난 소음에 시달렸다. 말도 상공 위로 폭격기가 비행했기 때문이다. 주민들의 계속된 민원으로 이제는 우회비행을 해서 다소 나아졌지만, 지금도 폭격을 하면 진동으로 전구가 천장에서 떨어지기도 한다고 주민들은 전했다. 김태복(70)씨는 “정부가 안보를 내세워 (미군의 직도 사격장 사용을) 몰아붙이면 힘없는 우리들이 어쩌겠느냐”며 “그러나 소음 피해와 어로 규제에 따른 피해를 보상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임성식 군산수협 조합장은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분단된 우리 민족의 안보상황은 이해하지만, 35년간 피해를 본 지역을 방치할 수 있느냐”며 정부의 대책을 촉구했다. 한편 군산시는 21일 국방부가 자동채점장치 설치를 위한 전단계로 요청한 직도의 용도 전용 허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군산 말도/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