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고양지역 시민단체인 고양시민회(공동대표 이춘열, 임철호)는 9일 권율 장군의 사당인 ‘충장사’에 걸려있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현판(사진)을 철거하라고 시에 요구했다.
고양시민회는 “임진왜란 당시 왜군에 맞서 대승을 거둔 행주산성에 친일파 박정희의 글씨가 걸려있는 것은 우리 역사를 스스로 희화화하는 것”이라며 “최근 윤봉길 의사의 사당인 ‘충의사’ 현판이 강제 철거된 것과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시가 스스로 철거하라”고 요구했다.
권율 장군의 영정을 모신 충장사는 1604년 행주 나루터 안마을에 지어졌으나 한국전쟁 때 불에 타 없어졌고, 1970년 행주산성 정화공사 과정에서 행주산성 안에 복원됐다. 현판은 박 전 대통령이 썼고, 영정은 친일화가 논란이 있는 장우성 화백이 그렸다. 고양시민회는 또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238번지 외 24필지 92만8천여평의 땅을 친일파 송병준과 그의 후손들이 소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송병준을 포함해 친일파 재산환수를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양/유신재 기자 ohora@hani.co.kr 사진 고양시민회 제공
충의사 현판철거 ‘과잉처벌’ 논란 “벌금형 전례비춰 구속 너무심해” 지적 매헌 윤봉길 의사 사당인 충의사 현판을 철거한 양수철(46) 민족문제연구소 전 충남지부장이 9일 전격 구속되자, 전례에 견줘 과잉처벌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9일 대전지법 홍성지원 장영달 판사는 충의사 현판을 무단 훼손한 혐의(공용물 손상 및 건조물 침입)로 경찰이 양씨에 대해 신청한 구속영장을 이날 실질심사를 거쳐 발부했다. 장 판사는 “도주 및 증거 인멸 우려는 적지만 이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앞으로 문화재 훼손행위에 대한 처벌 수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2001년 11월 곽태영 박정희기념관반대 국민연대 대표가 박 전 대통령이 쓴 서울 탑골공원의 ‘삼일문’ 현판을 떼어내 부순 바 있다. 그러나 곽 대표는 불구속기소됐으며, 2002년 5월 1심에서 ‘공용물 손상죄’로 10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곽 대표는 “내가 삼일문 현판 철거한 사건과 같은 성격의 사건인데 양씨를 구속 수사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재판부가 양씨를 구속한 것은 실정법으로 민족정기를 구속한 것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예산/송인걸,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충의사 현판철거 ‘과잉처벌’ 논란 “벌금형 전례비춰 구속 너무심해” 지적 매헌 윤봉길 의사 사당인 충의사 현판을 철거한 양수철(46) 민족문제연구소 전 충남지부장이 9일 전격 구속되자, 전례에 견줘 과잉처벌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9일 대전지법 홍성지원 장영달 판사는 충의사 현판을 무단 훼손한 혐의(공용물 손상 및 건조물 침입)로 경찰이 양씨에 대해 신청한 구속영장을 이날 실질심사를 거쳐 발부했다. 장 판사는 “도주 및 증거 인멸 우려는 적지만 이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앞으로 문화재 훼손행위에 대한 처벌 수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2001년 11월 곽태영 박정희기념관반대 국민연대 대표가 박 전 대통령이 쓴 서울 탑골공원의 ‘삼일문’ 현판을 떼어내 부순 바 있다. 그러나 곽 대표는 불구속기소됐으며, 2002년 5월 1심에서 ‘공용물 손상죄’로 10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곽 대표는 “내가 삼일문 현판 철거한 사건과 같은 성격의 사건인데 양씨를 구속 수사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재판부가 양씨를 구속한 것은 실정법으로 민족정기를 구속한 것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예산/송인걸,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