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도시 광역계획 5대 거점 4대 개발축
2030년 수도권 60만 이주
5개 거점 4개축 ‘광역개발’
5개 거점 4개축 ‘광역개발’
오는 2030년 행정도시 광역도시권의 인구가 수도권에서 이주하는 60만명을 포함해 400만명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건설교통부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청이 19~21일 여는 ‘행정도시 광역도시계획안’ 공청회 자료를 보면, 행정도시 광역도시권은 2030년께 면적 3598㎢에 인구 370만~400만명의 대도시권을 형성하게 된다. 광역권에는 행정도시 말고도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연기군, 공주시, 계룡시, 천안시(일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진천·증평군 등이 포함된다.
2030년 행정도시 광역권의 인구가 400만명일 때 각 지역 인구는 행정도시 50만명, 대전광역시 185만명, 충북 해당 지역 122만명, 충남 해당 지역 43만명 등이다. 2005년 현재 인구 258만명에 자연증가분을 더한 266만명 외에 인구 순증가는 행정도시 50만명, 진천·음성 혁신도시 20만명, 산업단지·택지개발 34만명 등 134만명으로 예상됐다.
특히 수도권에서는 행정도시와 광역권에 30만명씩 모두 60만명이 이주할 것으로 예상됐다. 아울러 2012년까지 175개 공공기관이 옮겨가는 10개 혁신도시와 6개 기업도시까지 포함하면, 2030년까지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주하는 인구는 140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행정도시 광역권의 공간구조는 ‘5대 거점, 4대 개발축’으로 요약된다. 행정도시를 중심으로 공주 쪽(1축)은 서해안과 충남 새도청권, 계룡 쪽(2축)은 호남권, 대전 쪽(3축)은 영남권, 청주 쪽(4축)은 강원권으로 연결된다. 다만 수도권 쪽으로는 연결도시화(연담화)를 막기 위해, 천안 북쪽에 수도권 도시의 팽창을 끊는 녹지축이 형성된다.
교통에선 행정도시의 국제 관문인 청주공항, 전국 관문인 고속철도(오송역·남공주역), 거점도시인 대전·청주·공주·계룡 등을 직접 연결하는 간선도로 체계가 마련된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