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상청 일기예보가 잇따라 빗나가면서 기상청이 연일 여론의 눈총을 사고 있다. 기상청은 “100% 정확한 기상예보는 있을 수 없다”며 ‘불가항력적인 상황’이라고 항변한다. ‘자연의 섭리’와 ‘기상청 예측’ 사이에 틈이 벌어지는 이유는 뭘까?
지난 29일만 해도 기상청은 이날 밤부터 30일 새벽까지 경기 북부 3∼8㎝, 경기 북부를 제외한 경기와 서울·강원 영동 등에 1∼5㎝ 가량의 눈이 내리겠다고 예보했다. 하지만 30일 오전 7시까지 동두천·춘천·철원·수원에만 2.5~1.0㎝의 눈이 내렸고, 문산·원주·서울의 적설량은 0.3~0.5㎝으로, 날리는 눈발도 보기 어려웠다.
김태수 기상청 통보관은 “눈이 비로 변해 적설량은 예상보다 적었지만 강수량은 서울 1㎜, 동두천 2.7㎜를 기록했다”며 “눈과 비를 모두 적설량으로 환산하면 서울 3~5㎝, 동두천 5~10㎝로 오차가 크지 않다”고 말했다. 그렇더라도 영상으로 올라갈 기온을 영하에 머무를 것으로 판단하고 예보한 대목은 변명의 여지가 없다.
또 기상청은 “30일 오전 5시부터 낮에 서해안을 중심으로 약한 황사가 나타나겠다”는 예보도 내놨다. 황사 발생이 예년보다 무려 40일이나 앞당겨진 셈이다. 그러나 이 예보도 실제와는 거리가 있었다. 이날 국내의 미세먼지 농도 최고치는 오전 9시20분께 흑산도에서 ‘감지’된 252㎍/㎥로, 맨눈으로는 느낄 수 없는 수준이었다. 그동안 통상 미세먼지 농도가 300㎍/㎥를 넘어야 ‘황사 정보’를 내온 것을 감안하면, 이번 ‘황사 예보’도 적절하지 않았던 셈이다.
기상청은 지난 주말에도 중부와 호남지역에 3~10㎝의 눈이 오는 등 전국적으로 많은 눈이 내린 뒤 강추위가 닥칠 것이라고 예보했지만, 실제 서울·경기 대부분 지역의 적설량은 1㎝를 넘지 않았다. 기온도 평년을 웃돌아, 주말 나들이를 취소한 시민들의 항의가 잇따랐다.
이처럼 예보가 연이어 빗나가는 데 대해 기상청은 “지구온난화와 엘니뇨 등에 의한 이상기온 현상과, 서해 바다 상공에서 수시로 급변하는 대기흐름 때문에 일어나는 ‘불가항력적 한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통보관은 “지난 주말의 경우 모든 과학적 데이터가 저기압 중심이 중부지방을 통과할 것이라는 예보를 뒷받침했는데, 실제로는 아래쪽인 충청·호남지방을 통과했다”며 “바다가 지닌 에너지에 의해 돌변하는 서해 상공의 대기 흐름을 완벽하게 예측하는 것은 지금 상태에서는 과학과 판단의 한계를 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