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앞이 캄감? 최영도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중구 인권위사무실에서 기자회견문을 읽기에 앞서 안경을 쓰고 있다. 강창광 기자chang@hani.co.kr
위장전입을 통해 부동산을 산 것으로 밝혀진 최영도(67)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이 18일 사퇴할 뜻이 없음을 내비쳤으나, 시민단체들은 사퇴를 촉구했다.
최 위원장은 이날 인권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권력 추구나 지위를 탐내서 인권위에 오지는 않았고, 인권 보호와 향상을 꾀하기 위해 왔다”며 “내가 있어야 할 자리가 아니라고 생각되면 그날로 떠날 것”이라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제 인생을 회고하건대 지금까지 돈과 권세와 지위를 추구하며 살지 않았고, 앞으로도 돈이나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면서도 “여러분의 깊은 이해를 바란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지난 17일 밤 낸 해명서에서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을 제 인생 마지막 봉사의 자리로 알고 있다”며 “최선을 다해 마지막 봉사를 하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최 위원장은 위장 전입으로 경기 용인시의 땅을 산 데 대해 “젊은 시절에 사려깊지 못한 처신으로 과오를 저질렀다”며 “당시 어린 아들이 몸이 불편해 어려움을 겪으므로 자식을 사랑하는 아비로서 아들의 장래를 위해 미리 무언가 삶의 터전을 마련해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참여연대는 이날 성명을 내어 “인권변호사로서 살아온 그의 인생역정과 수년전 평생을 수집해 재산가치로 환산하기조차 어려운 토기를 국립중앙박물관에 흔쾌히 기증한 그의 삶의 태도를 잘 알고 있는 우리는 참으로 착잡한 심정을 금할 수 없다”며, “그러나 고위 공직자에게 요구되는 도덕적 기준과 그 기준의 적용에 있어 어떠한 예외도 있을 수 없다는 점을 확인한다”고 말했다.
‘토지정의시민연대’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도 성명을 내어 “국가인권위원회의 수장이 부동산 투기를 해왔다는 소식에 더욱 깊은 절망감으로 망연자실할 뿐”이라며, “선택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도덕적 결단을 통해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