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시마네현 의회의 '독도의 날' 조례 제정에 반발하는 규탄집회와 교류중단 선언 등이 휴일인 20일에도 전국 각지에서 계속됐다.
경북 자동차부품정비사업조합은 이날 11시께 포항시 덕산동 우리은행 앞에서 회원 2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일본 규탄대회를 열고 "일본은 즉각 독도 침탈 야욕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또 영덕군 영해면 애향동지회원 300여명도 오후 5시 30분께 영해로터리에 모여`독도의 날' 제정 폐기를 촉구한 뒤 촛불 행진을 벌였다.
전남 고흥군도 이날 일본 가시마시와의 교류중단을 선언했다.
고흥군은 "지난 97년 1월 우호교류 체결 이후 지속돼 왔던 인적.물적 교류 등을전면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망동적인 조례제정 등으로 한일 양국간 우호증진에 찬물을 끼얹은만큼 더 이상 지자체간 교류는 바람직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본 자연결연 도시와의 결연을 선언하기는 고흥군이 처음이다.
또 이날 강원도 강릉시 강릉문화의 거리에서는 1986년부터 8년간 독도에 거주한조준기(48.독도주민 2호)씨가 당시 찍은 독도사진 수십여점으로 전시회를 가져 행인들의 큰 관심을 끌기도 했다.
전남도는 이날 일본의 독도 망동사태를 계기로 도내 미등록 무인도와 해면성 토지 등 우리땅 찾기에 나선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오는 연말까지 무인도와 등대, 불법매립지, 해면성 토지 등 토지 과세대상에서 누락된 미등록 영토에 대한 일제등록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독도사태를 계기로 누락된 무인도는 물론 조수간만의 차에 따라 들어나는 바위섬까지 철저하게 우리땅 찾기에 나설 방침이다. 전남도는 대한민국 영토가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는 원칙에 따라 혹시 누락된 무인도 등이 있는 지 철저히 조사할 계획이다. (전국종합/연합뉴스)
서울도심 휴일에도 반일·반전 시위 줄이어 휴일인 20일에도 서울 시내 곳곳에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등을 규탄하는 반일 집회가 계속됐다. 또한 이라크 전쟁 2주년을 맞아 반전 집회도 줄줄이 열렸다. 이라크파병반대비상국민행동(파병반대국민행동)은 이날 저녁 서울 종로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을 규탄하는 촛불집회를 연다. 독도역사찾기운동본부 회원 10여명은 이날 오전부터 경기도 과천 청계산 입구에서 시민들에게 유인물을 배포하며 1999년 발효된 한일 어업협정의 재체결을 촉구했다. 이들은 "현재 독도 위기의 본질은 잘못 체결된 한일 어업협정 때문"이라며 "당시 독도를 한일간 중간수역에 포함시켜 지금과 같은 문제가 생겼으므로 현 어업협정의 효력을 정지시키거나 협정을 새로 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파병반대국민행동은 일본대사관 앞 반일 집회에 앞서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에서2천여명(경찰 예상)이 모인 가운데 `3.20 국제반전행동' 행사를 열고 미군의 이라크철수와 파병 한국군 철수 등을 요구한다. 미국의 이라크 침략 2주년을 맞아 열리는 이날 행사는 서울과 광주를 비롯, 미국, 영국, 이탈리아, 일본, 인도, 필리핀, 멕시코 등 전세계 40여개국에서 동시 개최된다. 이들은 행사 뒤 `자유의 여신상'을 패러디한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의 상징물을앞세우고 종로1가까지 3㎞가량을 행진할 예정이다. 또 통일연대는 이날 오후 용산 주한 미군 기지 앞에서 400여명(경찰 추산)이 모여 집회를 열고 `반전평화 남.북.해외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통일연대와 민주노총,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40여개 단체 명의로 발표된 선언에서 이들은 "북한에 군사적 자극을 줄 수 있는 한미 합동 군사훈련을 중단하고 미국은 핵문제 해결에서 대북 적대정책을 철회하라"고 요구하는 한편 "일본의 군국주의부활을 경계하며 남북 전민족이 공동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은 청와대 앞, 외교통상부 정문 앞 등에서 방한 중인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을 규탄하는 1인 시위를 잇따라 벌였다. (서울/연합뉴스)
전남도는 이날 일본의 독도 망동사태를 계기로 도내 미등록 무인도와 해면성 토지 등 우리땅 찾기에 나선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오는 연말까지 무인도와 등대, 불법매립지, 해면성 토지 등 토지 과세대상에서 누락된 미등록 영토에 대한 일제등록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독도사태를 계기로 누락된 무인도는 물론 조수간만의 차에 따라 들어나는 바위섬까지 철저하게 우리땅 찾기에 나설 방침이다. 전남도는 대한민국 영토가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는 원칙에 따라 혹시 누락된 무인도 등이 있는 지 철저히 조사할 계획이다. (전국종합/연합뉴스)
서울도심 휴일에도 반일·반전 시위 줄이어 휴일인 20일에도 서울 시내 곳곳에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등을 규탄하는 반일 집회가 계속됐다. 또한 이라크 전쟁 2주년을 맞아 반전 집회도 줄줄이 열렸다. 이라크파병반대비상국민행동(파병반대국민행동)은 이날 저녁 서울 종로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을 규탄하는 촛불집회를 연다. 독도역사찾기운동본부 회원 10여명은 이날 오전부터 경기도 과천 청계산 입구에서 시민들에게 유인물을 배포하며 1999년 발효된 한일 어업협정의 재체결을 촉구했다. 이들은 "현재 독도 위기의 본질은 잘못 체결된 한일 어업협정 때문"이라며 "당시 독도를 한일간 중간수역에 포함시켜 지금과 같은 문제가 생겼으므로 현 어업협정의 효력을 정지시키거나 협정을 새로 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파병반대국민행동은 일본대사관 앞 반일 집회에 앞서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에서2천여명(경찰 예상)이 모인 가운데 `3.20 국제반전행동' 행사를 열고 미군의 이라크철수와 파병 한국군 철수 등을 요구한다. 미국의 이라크 침략 2주년을 맞아 열리는 이날 행사는 서울과 광주를 비롯, 미국, 영국, 이탈리아, 일본, 인도, 필리핀, 멕시코 등 전세계 40여개국에서 동시 개최된다. 이들은 행사 뒤 `자유의 여신상'을 패러디한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의 상징물을앞세우고 종로1가까지 3㎞가량을 행진할 예정이다. 또 통일연대는 이날 오후 용산 주한 미군 기지 앞에서 400여명(경찰 추산)이 모여 집회를 열고 `반전평화 남.북.해외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통일연대와 민주노총,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40여개 단체 명의로 발표된 선언에서 이들은 "북한에 군사적 자극을 줄 수 있는 한미 합동 군사훈련을 중단하고 미국은 핵문제 해결에서 대북 적대정책을 철회하라"고 요구하는 한편 "일본의 군국주의부활을 경계하며 남북 전민족이 공동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은 청와대 앞, 외교통상부 정문 앞 등에서 방한 중인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을 규탄하는 1인 시위를 잇따라 벌였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