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만이 “경제적 부담” 이유로
우리나라 20대 여성은 4명중 1명꼴로 ‘무자녀’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덕여대 한국여성연구소가 최근 보건복지부에 제출한 ‘출산 의욕 고취를 위한 사회적 대처방안’ 보고서를 보면, 전국 2767명의 성인을 조사한 결과 12.2%가 ‘자녀를 꼭 낳을 필요가 없다’고 응답했다.
특히 무자녀를 선호하는 경향은 젊을수록, 남성 보다는 여성에서 더 강했다. 이에 따라 여성의 무자녀 선호도는 20대 23%, 30대 21.4%, 40대 13.8%, 50대 9.7%, 60살 이상 6.3%로 조사됐다. 남성은 20대 13.4%, 30대 11.6%, 40대 9.1%, 50대 6.2%, 60살 이상 5.1%로 나타났다.
무자녀 선호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51%가 ‘경제적 부담’을 들었고 37.4%는 ‘부부만의 애정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7.7%는 ‘일에 부담이 간다’를 꼽았다.
하지만 이상적인 자녀수는 평균 2.2명으로 조사되어 현재의 합계출산율을 훨씬 초과했다. 응답자의 62.8%는 2명, 25.2%는 3명, 9.3%는 1명을 각각 이상적인 자녀수로 원했다.
연구팀은 “교육 수준과 소득이 높을수록 무자녀를 선호하고 자녀수도 적게 원했다”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제도를 개선하고, 사교육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등 출산율 제고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안영진 기자 youngj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