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생태계 보호” 추진
환경단체 “훼손 가속화” 반발
환경단체 “훼손 가속화” 반발
산림청이 백두대간을 비롯한 주요 산줄기를 국가 등산로로 지정하려 하자 환경단체들이 핵심 생태축 훼손이 심각해질 것이라며 지정계획 철회를 요구하는 등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산림청은 최근 국민이 가장 좋아하는 취미활동을 돕겠다며 등산로 분류체계 개선과 전국 100대 명산에 등산안내센터를 설치하는 것 등을 뼈대로 한 ‘등산지원 기본계획’을 마련해 시행에 들어갈 참이다. 이 계획을 보면, 산림청은 백두대간 설악산~지리산 구간 684㎞와 대간에서 이어지는 정맥 산줄기 9곳 2080㎞를 국가 등산로로 지정할 예정이다. 또 국가표준 등산로 지도를 작성해 등산정보를 표준화하고, 등산로 주변에 동물·식물·경관 해설판과 조류관망대를 설치한다는 등의 계획을 세우고, 기초조사 요원 410명을 선발한 상태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물론 국립공원관리공단까지 “국가 등산로 지정으로, 무분별한 종주 등반으로 몸살을 앓는 백두대간의 훼손이 가속화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박정운 녹색연합 자연생태국장은 “지금은 마루금을 걷는 ‘종주 중심 등산’에서 생태문화를 탐방하며 ‘돌아가는 등산’으로 등산 문화를 바꿔야 할 때”라며 “산림청의 시도는 종주 등산을 조장해 백두대간 훼손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덕구 국립공원관리공단 홍보팀장도 “백두대간과 정맥 9곳에는 생태적으로 보호해야 할 구간이 많다”며 “정맥 주능선 9곳을 국가 등산로로 지정하는 것은 국민에게 아직은 일반화되지 않은 정맥 종주를 유도할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산림청은 방치된 등반로를 관리해 생태계 보호에 도움이 된다고 반박했다. 이성환 산림청 등산지원팀 사무관은 “국가등산로를 지정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특정 등산로에 몰리는 등반객들을 분산시켜 생태계를 보호하는 효과가 클 것”이라며 “계획대로 4월부터 기초조사를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